닫기

지난해 지방공기업 부채 69조8000억…신도시 건설 영향에 4조3000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2010005978

글자크기

닫기

세종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8. 12. 16:50

부채비율 39.3%로 7년째 30%대 유지…부채중점관리기관 105곳 지정
행안부3
/박성일 기자
지난해 지방공기업 부채가 신도시 건설 등으로 4조원 넘게 늘며 70조원에 육박했다. 부채비율은 39.3%로 전년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7년째 30%대를 유지했다.

행정안전부는 12일 상·하수도 등 직영기업 253곳, 지방공사 77곳, 지방공단 88곳 등 총 418개 지방공기업의 '2024년도 결산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지방공기업의 자산은 총 247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조2000억원(3.4%) 늘었고, 부채는 69조8000억원으로 4조3000억원(6.6%) 증가했다. 자본은 177조3000억원이었다.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전년(37.8%)보다 1.5%포인트 오른 39.3%를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2조6813억원으로 전년 대비 598억원(2.3%) 증가했다. 행안부는 "상·하수도 직영기업과 도시철도공사가 원가 대비 낮은 요금을 유지하고 있어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상·하수도 기업 자산은 101조6000억원, 자본은 96조4000억원으로 각각 4조원, 4조4000억원 증가했으나, 요금 현실화율이 낮아 순손실이 1639억원 늘었다. 공영개발 부문은 순손실이 186억원으로 전년보다 1195억원(86.5%) 줄었다. 택지·공단 용지 판매로 이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6개 도시철도공사의 부채는 10조3000억원으로 6000억원 늘었고, 순손실은 1조2453억원이었다. 요금 현실화율(45.9%)이 낮고 무임수송 손실이 이어진 탓이다. 16개 광역도시공사의 부채는 48조7000억원으로 3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차입금이 3조1900억원 늘었다.

행안부는 최근 3개년 결산자료를 토대로 부채중점관리기관 105곳(공사 24, 출자 31, 출연 50)을 지정했으며, 이 중 재무위험이 큰 24곳을 부채감축대상기관으로 선정했다. 해당 기관에는 부채감축 및 수익성 개선 계획 수립·이행을 의무화하고, 경영평가에 반영해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부채비율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내실 있는 부채관리로 지방공기업이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