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35만 원 규모 평생교육이용권 확대 지원
|
교육부는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활용 실태를 처음으로 객관적으로 측정한 '제1차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성인 약 350만명(8.2%)이 기본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조차 어려워하는 '수준 1'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해 만 18세 이상 성인 1만명을 표본으로 실시했으며, 디지털 활용 능력을 △기본 조작 △정보 활용 △의사소통 △안전 △문제 해결 등 다섯 영역에서 평가했다. 실제 생활과 유사한 '지도 앱 길찾기', '기차표 예매', '은행 앱 송금' 등 시나리오 기반 문항도 포함됐다.
디지털 문해능력은 4단계로 구분됐다. 수준 1은 전체의 8.2%로 약 350만명이 여기에 해당했다. 수준 2는 17.7%(약 758만명)로 기본 조작은 가능하지만 생활 활용은 미흡한 단계였다. 수준 3은 21.4%(약 918만명)로 일상 문제 해결은 가능하지만 안전하고 비판적인 활용은 부족했고, 수준 4는 52.8%(약 2266만명)로 디지털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 성별, 거주 지역, 학력과 소득에 따라 격차가 뚜렷했다. 60세 이상은 23.3%가 수준 1에 해당했고, 중학교 졸업 이하 학력은 34.6%, 월 가구소득 300만 원 미만 가구는 25.9%로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반면 18~39세 청년층은 0.8%에 불과했다.
디지털 기기 사용 목적은 가족·지인과의 연락(97.0%)이 가장 많았으며, 생활정보 검색(84.8%), 유튜브 시청 등 여가활동(84.4%), 온라인 쇼핑 및 결제(70.8%) 순이었다. 기기 사용이 어렵다고 답한 성인은 전체의 40.4%로, 고령층일수록 불편을 호소했다.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향을 밝힌 응답자는 62.1%였고, '빠른 세상 적응과 자신감 향상'(77.6%)을 이유로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AI)·디지털 평생교육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경로당이나 마을회관을 직접 찾아가 실습형 교육을 제공하는 '한글햇살버스'를 확대하고, 은행과 매장 등 현장 실습을 늘려 일상생활 속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또 저소득층과 노인, 30세 이상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을 지원하고, 평생학습도시를 중심으로 지자체별 특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의 규모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며 "누구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