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관세 엎친 데 파업 덮치나… 현대차 ‘노조 리스크’ 속앓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0010009090

글자크기

닫기

한대의 기자

승인 : 2025. 08. 19. 18:00

정년 64세 연장·주 4.5일제 등 요구
현대차 노조, 20일 투쟁방향 정할듯
25일 조합원들 파업 찬반투표 예고
업계 "25일 전 노사협상 타결 가능성"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이 올해 임금·단체협상(임단협)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쟁의권 확보에 돌입하면서 노사 간 전운이 감돈다. 노조는 지난해 순이익의 30%인 약 4조원을 성과급으로 내놓고, 정년을 64세로 늘리는 한편 주 4.5일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등의 요구를 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 영향으로 향후 현대차의 실적이 불투명한 가운데 나온 노조의 요구에 자칫 산업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20일 열리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투쟁 방향을 정하고 25일 전체 조합원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노조는 지난 6년 간 파업 없이 임단협 교섭을 이뤄왔다. 일각에선 2023년과 2024년 당시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했지만 실제로 파업에 나서지 않은 점 등을 들어,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고전하는 상황에서 실제 노조가 파업 정당성을 내세우긴 어려울 거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파업을 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피력하고 있지만 노조도 현재 현대차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면서 "노사 간 물밑 접촉을 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25일 전에 협상 타결이 나올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미국발 관세 영향으로 타격이 불가피한 위기 속에 놓여있다"면서 "이런 부분을 노조 실무진들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노조가 상당히 높은 요구조건을 내걸고 있지만 분명히 타협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과 지난해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통상임금에 각종 수당 포함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60살인 정년을 국민연금을 받는 64세까지 늘리고 주 4.5일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수출 자동차에 적용되는 관세에 대한 사측의 설명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노조 현대차지부는 "노조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상에 임하고 있는데, 사측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는 상황"이라면서 "20일 임시대의원들이 쟁의를 할지 말지를 논의하고, 25일에는 모바일 투표를 통해 파업 찬반을 가르는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현대차는 14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냈고, 실적도 7.3%정도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사측은 관세 핑계만 대고 있다. 따라서 투쟁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대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