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제품 넘어 ‘플랫폼 전체’…현대모비스, 車반도체 국제표준 최고등급 획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10058

글자크기

닫기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08. 21. 11:00

연구개발 전과정 무결성 최고등급
올해 자체 개발 반도체 16종 양산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인증서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인증서./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차량용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세스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입증받았다.

현대모비스는 차량 전자·전기 시스템 기능안전 국제표준인 ISO 26262 인증을 가장 높은 등급으로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특정 반도체 단품을 넘어 설계와 품질 검증 등 전 과정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업계에서도 드문 사례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가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개발하는 차량용 반도체는 제품 단위 인증과 동일한 수준의 신뢰성을 자동으로 확보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성과를 협력사들과 공유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심사는 독일의 전문기관 엑시다(Exida)가 맡았다. ISO 26262는 차량 전장 시스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제정된 글로벌 규격으로, 2018년부터 반도체 부문에도 적용되고 있다.

통상 MCU나 AP 같은 개별 칩 단위로 인증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현대모비스처럼 연구개발 전 과정을 아우르는 플랫폼 자체 인증은 요건이 까다로워 흔치 않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인프라와 설비뿐만 아니라 연구 인력의 안전 의식과 위기 대응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안전 무결성 등급(ASIL) 평가에서 최고 수준인 D등급을 받았다. A부터 D까지 4단계 중 D는 가장 높은 단계로, 99% 이상의 신뢰도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21년 현대오트론의 반도체 사업을 인수한 이후 자체 설계 반도체의 양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업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인프라를 기반으로 올해부터는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현재 에어백용 통합칩, 친환경차 전원반도체, 모터 제어용 반도체, 차량용 AVN 전원칩 등 16종을 직접 설계해 생산 중이며, 올해만 2천만 개 이상 양산할 전망이다.

향후 3년 안에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차량 조명, 통신 및 네트워크 SoC 등 11종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도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파운드리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디자인하우스와 패키징, 검증 전문 기업들과도 협업 범위를 넓히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성과가 단순히 자체 경쟁력 강화에 그치지 않고 협력사들과의 동반 성장을 이끌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테크놀로지와 공동 연구소를 설립해 차세대 램프용 반도체를 개발했고, 동운아나텍과는 구동 통합칩 개발을 완료해 양산을 앞두고 있다.

이희현 현대모비스 시스템반도체실장 상무는 "이번 인증으로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좌우하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전략적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며 "기술 내재화와 함께 국내외 주요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기능안전을 강조한 연구개발 환경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