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찰청 ‘이태원 참사’ 감찰 착수에 내부 반발…“일선에 책임 떠넘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1010010685

글자크기

닫기

최인규 기자

승인 : 2025. 08. 21. 17:33

경찰청 지난 20일 이태원 참사 조사 개시 통보
심폐소생술하며 트라우마 겪는 경찰관도 포함
서울경찰 직장협의회 대표단 "잠재적 범죄자 취급"
경찰청. 박성일 기자
경찰청. /박성일 기자
경찰청이 이태원 참사 당시 출동한 경찰관 등에 대한 감찰에 착수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책임 있는 공무원에 대한 감사를 약속한 것에 대한 후속조치다. 그러나 내부에선 지휘부의 책임을 일선 경찰관들에게까지 떠넘긴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 20일 2022년 10월29일에 근무했던 경찰관 등에게 조사 개시를 통보했다. 대응 과정에서 문제가 없는지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달 16일 이태원 참사 유족들을 만나 "제대로 된 감사나 감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건의를 받아들이면서 이뤄진 조치다.

경찰청은 대상자들에게 의원면직, 포상 추천 등이 제한된다는 내용을 담아 공문으로 전달했다. 감사가 끝나야 인사상 변동이 가능하단 얘기다.

문제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까지 하며 트라우마를 겪는 경찰관까지 감찰 대상으로 했다는 점이다. 일선 경찰관들이 모인 서울경찰 직장협의회 대표단은 지휘부 지시로 직무를 수행한 경찰관까지 감찰하면서 '무분별한 감사'라고 주장한다. 경찰청이 경찰관들을 사실상 잠재적 범죄자 취급한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서울경찰 직장협의회 대표단 관계자는 "조사 대상자 기준이 무엇인지, 당시 업무를 수행한 모든 이들을 감사 대상으로 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무책임한 행정에 트라우마를 겪는 경찰관들이 더욱 피해를 본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징계시효가 3년 이내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해명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징계시효가 얼마 안 남아서 한 조치"라며 "대상자들을 감찰한 뒤 문제가 없다면 제외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인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