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SK가스·포스코홀딩스, 청록수소 생태계 필요성 논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2010010892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8. 22. 10:48

청록수소, 국내 생산 최적 기술로 주목
민간 협력 및 협의체 신설 공감대 형성
SK가스 보도이미지(1) (1)
SK가스와 포스코홀딩스가 21일 서울 강남 포스코센터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적 청록수소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포럼을 개최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SK가스
SK가스와 포스코홀딩스가 경쟁력 있는 청정수소 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청록수소의 생태계를 본격 조성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22일 양사는 전날(21일) 서울 강남 포스코센터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적 청록수소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SK가스와 포스코홀딩스를 비롯해 PwC, 에너지경제연구원, 충청북도, 제주대학교 등 수소 사업 관련 주요 산학 전문기관들이 참석해 국내 수소 생태계에서 청록수소의 필요성과 저변 확대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청록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에서 분해해 수소와 고체 탄소를 분리해내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고, 그린수소와 블루수소의 국내 생산에 대한 지역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어 경제성과 현실성을 동시에 갖춘 수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날 포럼은 1부 주제 발표와 2부 패널 토론으로 구성됐다. PwC 서용태 파트너의 발제로 시작된 1부에서는 청록수소의 환경성(충북도청 조상훈 사무관), 경제성(SK가스 심영선 부사장), 기술성(포스코 조명종 소장)을 주제로 3건의 발표가 진행됐다. 발표자들은 청록수소가 국내 에너지 시장에서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며, 상용화 가능성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이어 제주대학교 최수석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청록수소 기술이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만큼,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부의 수소 산업 육성 정책이 기존의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중심에서 청록수소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들은 산학 간의 공동 연구와 실증 프로젝트, 정책 제안 등을 통해 청록수소 산업 기반을 다져 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민간협의체 신설 필요성도 제기했다.

한편, SK가스와 포스코홀딩스는 청록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질적 행보를 지속해 왔다. SK가스는 2021년 청록수소 제조 원천기술을 보유한 Graphitic Energy(구 C-zero)사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한 바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청록수소를 수소환원제철 공정에 연계해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