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 첫 ‘사내대학원’ 출범…LG, AI 석사 인재 키운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4010011542

글자크기

닫기

세종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8. 24. 13:44

교육부 인가로 내달 30일 개교…석사과정 30명 모집, 내년 3월 본격 운영
기업이 직접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AI 인재 생태계 확장 기대
2025080601000469300028381
/박성일 기자
국내 최초 사내대학원인 'LG AI대학원'이 다음 달 30일 문을 연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된 첫 사례로, 기업 중심의 고급 인재 양성 체계가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교육부는 LG 경영개발원 인공지능(AI)연구원이 신청한 사내대학원 설치를 인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사내대학원은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바이오·AI·첨단 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분야 기업이 사내 근로자를 석·박사급 전문인력으로 키우기 위해 교육부 인가를 받아 운영하는 평생교육시설이다. 졸업 시 일반 대학원과 동등한 학위가 부여된다. 기존에는 전문대·대학 수준의 사내대학만 가능했지만, 올해 1월 시행된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으로 대학원 과정까지 허용되면서 길이 열렸다.

LG AI대학원은 '도메인 지식과 AI 역량을 갖춘 최고의 AI 인재 양성'을 목표로 내세운다. 산업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문제 해결형 전문가를 길러내는 것이 핵심이다. 석사과정 입학생 30명을 모집해 내년 3월부터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향후 박사과정도 신설할 계획이다. 커리큘럼은 기초 이론부터 머신러닝·자연어처리·생성형 모델 등 고급 AI 기술까지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교육부는 이번 사내대학원 인가가 기업 혁신과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이 자체 데이터와 인프라를 활용해 연구·교육을 병행할 수 있어, 인공지능을 비롯한 차세대 기술 분야에서 독자적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실제로 LG는 자사 주요 산업 도메인에 AI를 내재화해 품질 예측, 공정 최적화, 수요 예측, 고객 분석 등 생산성과 효율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국내 첫 사내대학원 출범은 단순히 LG 그룹 내부 인재 양성에 그치지 않는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산업 현장에 특화된 전문인력을 길러내는 새로운 교육 모델이 정착하면, 국내 전체 AI 인재 생태계가 한층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업 중심의 장기 교육·연구 체계가 자리 잡으면 그동안 해외 유학이나 외부 프로그램에 의존하던 고급 인재 수요를 국내에서 흡수할 수 있어, 해외 인재 유출을 완화하고 국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고급 인재를 기업이 가진 자원으로 직접 양성할 수 있는 사내대학원 제도는 첨단산업 인재 양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대학·기업 간 교원 교류와 공동연구 등 산학협력도 한층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