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료 재배면적 확대·설비 확충 지속
지속가능 농업 위한 직불금 개선 필요
|
축산농가 생산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항목은 단연 '사료'다. 사료비 절감은 곧 농가 생산비 감축인 동시에 소득 증가라는 흐름으로 이어진다. 당진낙농축산업협동조합이 '조사료 국산화'를 통해 수입산을 대체하려 구슬땀을 흘리는 궁극적인 목적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이경용 당진낙협 조합장<사진>은 지난 11일 충남 당진시 송산면에 위치한 당진낙협 '공동자원화시설' 내 사무실에서 아시아투데이와 만나 "축산물 생산비에서 사료가 차지하는 부분은 60~70% 수준"이라며 "품질 좋고 저렴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은 농가 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 조합장은 낙농인 출신으로 지난 2000년 조합장에 당선됐다. 현재까지 '7선' 조합장으로 당진낙협을 이끌고 있다. 그가 조합장에 당선된 뒤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은 '국내산 조사료 생산'으로 지난 2010년부터 재배면적 확대 및 설비 확충을 지속하고 있다.
이 조합장이 조사료 재배에 주목한 것은 2000년대 초 정부의 쌀 수급안정 움직임이 계기가 됐다. 벼 수확량을 조절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자 타 작물 재배로 눈을 돌렸다.
그는 "정부가 2000년대 초반 쌀 수급조절을 한다고 휴경론을 만들었다"며 "농업이 변하고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쌀은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조사료를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값비싼 수입산을 대체해 농가 경영비 절감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 조합장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미국·호주·캐나다산 조사료 일부 물량에 대한 쿼터제가 만들어졌다. 쿼터제 안에서 조사료를 수입해야 했기 때문에 품질은 떨어지고 가격은 높았다"면서 "우리가 직접 조사료를 생산해 공급하면 (수입산 대비 저렴해) 농가 생산원가가 낮아지고, 농가소득이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조합장은 조사료 재배단지 운영 확산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를 주문했다. 농업협동조합이 '전략작물직불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 것을 개선하고, 논을 유지하고 있는 것에 대한 추가 직불금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략작물직불제의 경우 지급 대상이 농업경영체로 등록된 농업인, 농업법인 및 식량작물공동경영체로 한정돼 있다. 직원들이 농사를 짓는 농업협동조합은 직불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는 "총체벼의 경우 1㏊ 기준으로 생산비와 판매금액을 보면 약 168만 원 적자가 난다"면서 "(국내산 조사료 생산으로) 회원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지만 조합 입장에서는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경우 논두렁을 부수지 않고 조사료를 심었을 때 농지 보전에 따른 직불금을 지급한다. 쌀농사가 필요할 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라며 "조사료 재배 시 수익이 날 수 있게 뒤따르는 행정에서 역할을 해주면 고마울 것 같다. 결국 관련 지원정책이 낙농뿐만 아니라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작·지원=농식품부·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