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2025 EY한영 AI, 신외감법과 회계감사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5%는 재무·회계·감사 업무에서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97%는 AI 도입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해 대다수의 국내 재무·회계·감사 업무 종사자들이 AI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직원 5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현재 재무·회계·감사 업무에 AI를 활용 중이거나 도입을 준비 중인 기업은 전체의 40%에 달해 현업에서 AI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도입률은 2024년 17%에서 올해 28%로 11%포인트 상승하며 기업들의 AI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AI의 가장 큰 효과는 회계투명성 강화에서 두드러졌다. 응답자의 79%가 "AI가 회계투명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으며, 반대 의견은 2%에 불과했다. 특히 이미 다양한 재무·회계·감사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중 95%는 개선 효과를 실감하고 있어, 실제 도입 경험이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응답자들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 분야로 '회계처리 자동화'를 1순위로 지목했으며, 이어 '이상 거래 탐지 및 부정 감시', '재무 예측 및 계획 수립', '데이터 분석 및 보고를 통한 인사이트 도출', '생성형 AI를 활용한 보고서 작성 자동화' 순으로 꼽았다.
기업 간 AI 활용 역량 격차 확대 가능성도 확인됐다. 이미 AI를 도입했거나 도입 준비 중인 기업의 96%는 향후 투자 확대 또는 현 수준 유지 의향을 밝힌 반면, 향후 도입 계획이 없는 기업의 73%는 앞으로도 투자 계획이 없거나 현 투자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답해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또 아직까지 국내 기업들이 AI와 관련한 내부 제도적 기반도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재무·회계·감사 업무에서 AI 활용에 대한 내부 지침 또는 거버넌스를 갖춘 기업은 21%에 불과했고, 70%는 관련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이광열 EY한영 감사부문 대표는 "재무·회계·감사 영역에서 내부 효율성과 회계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AI 도입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며 "실제로 재무·회계·감사 실무진의 60%가 AI 도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 최고경영진의 관심과 의지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은 만큼, 경영진의 전략적 리더십과 투자가 AI 전환 성패를 가를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AI는 생산성 향상을 넘어 부정·횡령 예방, 컴플라이언스 준수, 나아가 회계투명성 확보의 주요 수단이 될 것"이라며 "AI 도입은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로 직결되고, 도입 여부가 향후 기업 간 경쟁력 격차를 좌우할 것이다. AI 도입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내부 정책과 거버넌스 정비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