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공동주택관리정보 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8월 입주한 아파트(분양 단지)의 단지별 평균 주차 대수는 1.36대로 나타났다. 신축임에도 여전히 여유로운 주차 기준으로 꼽히는 1.5대 기준에 크게 못 미친다. 가구당 주차 대수는 2023년 1.30대, 2024년 1.35대로 늘어나는 추세지만, 여유있는 수준은 아니다.
이처럼 주차공간이 협소해 주차장 관련 민원은 빈번해지고 있다.
아파트 생활지원 플랫폼 아파트아이가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1년간 자사 아파트아이 앱 내 민원 관리 서비스에 접수된 10만여 건의 민원을 조사한 결과 '주차' 유형이 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민원 유형도 주차 공간 부족, 이중주차, 외부 차량 주차 등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유지했으며, 전년 대비 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음(20%), 흡연(19%)보다 높은 비중으로 나오면서 입주민들 사이에서 주차 문제가 훨씬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심각한 주차난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입주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 잡았다. 퇴근 후 주차 공간을 찾아 단지를 몇 바퀴씩 배회하는 주차 전쟁은 대부분 아파트에서 흔한 현상이다. 통로를 막는 이중주차나 불법주차 문제는 분쟁의 불씨가 되기 십상이다. 특히 긴급차량의 진입을 방해해 안전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하거나 늦은 밤 외진 곳에 주차한 뒤 집까지 걸어가야 하는 불안감은 입주민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국민 1인당 자동차가 0.5대, 즉 2명당 1대꼴로 차를 가졌다. 한 집에 평균 2.2명(평균 가구원)이 사는 것을 감안하면, 산술적으로 집집마다 차가 1.1대씩 있는 셈이다. 여기에 집에 찾아오는 손님이나 택배, 공사 등 외부 차량까지 수용할 수 있으려면 약 1.5대가 넘는 주차공간을 마련해야 넉넉하게 주차를 할 수 있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주차공간을 넉넉이 확보한 아파트가 신규 공급을 앞두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이달 울산 남구 무거동에 선보이는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로 전용면적 84~166㎡ 총 816가구 대단지로 들어선다.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는 주차장을 100% 지하화 했으며 가구당 1.6대의 넉넉한 주차공간을 마련한다.
이달 경기 과천에 공급되는 디에이치 아델스타 역시 가구당 1.79대의 넓은 주차공간이 들어선다. 단지는 전용면적 39~145㎡ 총 880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59·75·84㎡, 34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대우건설이 8월 수원에 분양하는 망포역 푸르지오 르마크는 가구당 주차 1.54대가 가능하도록 조성될 예정이다. 전용면적 62~100㎡ 총 615가구로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