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 절차 존중하지만, 불확실성 가중"
|
26일 한국GM에 따르면 노조는 오는 29일까지 4시간 부분파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앞서 노조는 서비스센터 등 자산 매각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임단협에 응하지 않겠다며 부분파업을 강행해왔다. 한국GM 노조는 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과 성과급 4136만원을 요구했으며 사측은 월 기본급 6만300원 인상과 성과급 1650만원 지급을 제시했다.
노조는 지난 19일부터 법령상 필수 유지 부서를 제외하고 특근을 거부했다. 이어 전·후반조 2시간씩 진행하던 파업을 이달 21일부터는 4시간으로 확대했다. 25일에는 인천 부평공장 조립사거리에서 철야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좀처럼 노사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 하반기 차량 생산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 같은 파업에 최근 노란봉투법까지 통과되면서 올 들어 불거진 철수설에 대한 우려만 커진 상태다. 이날 한국GM은 노란봉투법 통과와 관련해 "입법 절차를 존중하지만, 해당 법안이 기업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안정적인 생산 성과와 공급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GM은 한국에서 경쟁력 있고 지속 가능한 사업 환경을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건설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동차업계와 노조 등에 따르면 앞서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사장은 지난 21일 고용노동부가 주재한 자동차·조선·철강 등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한국은 이미 노사 갈등으로 인한 리스크가 큰 국가라며 미국 본사가 한국사업장을 재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노란봉투법에 대한 강한 우려를 표명하며 거듭 재고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GM은 2019년 한국GM 군산공장 문을 닫으며 사업을 축소한 바 있다. 지난 4월 미국이 한국GM 생산 물량에 대해서도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수설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지난 5월 운영 효율화를 명목으로 직영 서비스 센터와 일부 생산시설을 매각한다는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노조 측과의 잡음도 지속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GM의 한국사업장 유지 약속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관세와 노조 리스크 등 악재만 지속되고 있다"며 "한국사업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선제 대응해야 할 필요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