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바이오 산업 혁신 전환점” 국토부,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단 지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7010013247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08. 27. 11:00

이미지
충북 청주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위치도./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충북 청주시 소재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오는 28일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간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18년 8월 오송 제3생명과학 산업단지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되며 사업 물꼬를 텄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충청북도 간 통합조정회의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며 사업 계획도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정부와 사업시행· 지자체 등 관계기관 간 지속적인 협의가 결정적이었던 셈이다.

정부는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 412만㎡ 부지에 들어서는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를 K-바이오 선도 핵심 거점이자 '한국판 켄달스퀘어'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켄달스퀘어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세계 최고의 바이오 클러스터로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모더나 등이 입주해있다. 산업 기능 뿐 아니라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대학원 등 유치)를 중심으로 주거 및 문화 기능이 어우러진 바이오 허브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조성 초기부터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바이오 기업, 주거 및 상업 시설을 함께 배치한다. 연구개발(R&D)부터 사업화에 이르는 전주기 혁신시스템을 갖춘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오송에는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바이오폴리스 등 기존 바이오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실 가능성도 낮지 않다는 분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을 비롯해 바이오 기업과 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등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다.

산업단지 조성이 완료될 경우 바이오메디컬 캠퍼스와 국가 의료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해 연구개발 인력 양성과 혁신 성장기업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이다. 1조7968억원 규모의 생산유발 효과와 1만1562명에 달하는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국토부는 오는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부터 토지보상 등 후속 절차를 본격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지연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은 "이번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바이오 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단순한 산업시설의 집적을 넘어 K-바이오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고, 연구 활동과 근로자의 삶이 조화를 이루는 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