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명 복무 중 사망…일본 정부, 유해 발굴 거절
|
26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다케우치는 23일 일본 아오모리현에서 열린 조선인 동원을 주제로 한 연구집회에서 북방 방위 거점이었던 구 해군 본부 오오미나토 경비부(현 아오모리현 무츠시)의 시설부에 군속으로서 조선인이 약 4500명이 징용됐으며 그 중 약 1400명이 복무 중에 사망했다는 새로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일제는 한반도가 식민지였던 시절 100만명 이상을 강제동원해 군 복무를 하게 하고 노동 현장에서 근무시켰다.
다케우치의 조사에서는 조선인 2만명 이상이 징용돼 아오모리현에 배치됐으며 그 중 일부는 홋카이도나 야마구치 등 각지의 해군부대로 파견됐다.
다케우치는 "이번 조사에서 일본 정부가 전쟁 후, 한국 정부에 건넨 '피징용자 사망자 연명부'뿐만 아니라 노동자 개인의 '해군 군속 신상 조사표'를 추가로 분석했다"며 "오오미나토 해군기지에 배정된 약 4500명중 30%이상인 약 1400명이 사망한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당시 약 900명이 어뢰 공격을 받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다음으로 많은 인원은 전쟁 종료 후 귀향 도중에 교토의 마이즈루 만에서 침몰한 일본 해군 함선 우키시마 마루에 승선했던 406명이다.
해군 군속 신상조사표에는 징용된 노동자들의 출신지와 생년월일, 연행시기, 사인 등이 명시돼 있다.
다케우치는 "신상 조사표를 보면 당시의 한 사람 한 사람의 처지와 상황이 그려진다. 이 정도로 많은 젊은이가 집단으로 강제 동원됐고 그들의 사망률이 비약적으로 높은 것은 가혹한 노동 환경의 증거"라고 지적하며 "사인은 명시돼 있지만 자세한 사망 상황 등은 적혀 있지 않고 이 같은 기록 자체가 남아 있지 않은 사람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일본 정부는 전 징용공에 대한 손해 배상을 포함한 문제는 해결됐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가족이 죽었는지 모르고, 바다에 가라앉은 채 유골도 반환되지 않은 사람도 많다. 유족에게 있어서는 지금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라며 "일본 정부는 진상 규명과 유해 봉환 등을 통해 징용공들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역사와 기억을 제대로 계승하기 위한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유해 환수나 봉환조차도 거절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같은 날인 26일 야마구치현 앞바다에서 조세이 해저탄광의 강제징용 피해자로 추정되는 이의 유골이 발견됐다. 유족과 역사학자들은 일본 정부에 발굴 작업을 요구했다.
이에 후쿠오카 다카마로 후생노동상은 "현 시점에서 비용을 들여 발굴 작업을 하는 것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