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경쟁력 더욱 악화하는 현실
정부·업계·노동자 의사결정 중요
|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책연구실장과 김종근 서울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27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경기 침체기엔 국내 고급 브레인들이 해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데, 정부의 인력 보호 시스템은 한계가 뚜렷하다고 입을 모았다. 노 실장이 있는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중소기업의 발전과 함께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연구하는 공공기관이다. 노 실장은 기관의 연구를 총괄하고 있다. 또한 김 교수도 경제정의실천연합에서 중소기업 분야 위원장을 맡고 있다. 모두 이 분야의 '전문가'라 할 수 있다.
노 실장은 "요즘 같은 경기 침체기에는 국내 체류 요인이 적어져 핵심인재 스카우트를 통한 기술 유출 유혹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며 "그러나 지금 정부의 인재 보호 전략은 유출됐을 때 대응하는 방안이 중심이고 사전 조치차원의 성과보상시스템은 매우 취약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중국을 콕 집어 설명했다. 김 교수는 "현재 상황에서 기업들은 중국과 게임이 안 된다"며 "단순 임금 수준뿐 아니라 업무 환경도 막대한 투자를 한 중국이 더 좋다"고 얘기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현실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의 고급 인력 채용 시도가 번번이 실패하고 자생력은 더욱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업계 전반적으로 침체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노 실장은 "중소기업은 인력에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고 임금 수준에서도 대기업과 큰 차이를 보인다"며 "그런데 현 상황이 계속된다면 중소기업들의 우수 인재 유치는 더욱 어렵게 된다. 업계가 전체적으로 어렵게 되는 것"이라고 쓴 소리를 했다.
김 교수는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관계에서 압도적인 을의 위치에 있을 수밖에 없다"며 "그런데 국가 지원은 한시적이고 생색내기에 치중돼 있어 해법이 보이질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와 업계가 협업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봤다. 노 실장은 기금을 통해 고급 브레인들에 대한 세액 공제로 지원하는 게 적절하다고 했다. 노 실장은 "중소기업 내 경영성과급 세액공제율을 인력 개발비 수준인 25%로 상향 조정하고 핵심인력 전용 내일채움공제 사업을 신설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업계가 공통된 부분부터 찾고 해법을 내놓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기금과 별도로 공공 플랫폼을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김 교수는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마련한 기금으로 (기업에) 지원하는 게 좋은 방안이지만, 전부는 아니다"며 "대기업에 근무하던 인재가 다른 기업에 가서 같은 업무 의욕을 가질지, 중소기업이 의도한 대로만 지원금을 활용할지 등 복잡한 과제가 있다"고 했다.
이어 "핵심기술 인력 등을 그룹화하고 이를 시장에 제공하면 중소기업의 개별적인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며 "일종의 국가 차원의 공공 인프라를 운영하는 것이다. 여기에 기금으로 투자하는 방식이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다만 어떤 형태든 협의체 내에서 중소, 중견, 대기업과 정부 그리고 노동자들이 균형을 이뤄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