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인도에 ‘50% 관세폭탄’ 현실화…인도 “수출 다변화로 맞설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8010013988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08. 28. 09:21

USA-TRUMP/TARIFFS-INDIA <YONHAP NO-3808> (REUTERS)
지난 2월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왼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회동하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인도에 50%의 '관세 폭탄'을 27일(현지시간)부로 현실화하면서 21세기 들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온 양국 관계가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번 조치는 기존 25% 관세에 더해 인도가 미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계속하는 것에 대한 '징벌적 관세' 25%가 추가된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의류·보석·신발·가구 등 인도의 주요 수출품이 타격을 받게 됐다면서 "이는 브라질과 함께 미국이 부과하는 최고 수준의 관세율"이라고 보도했다.

인도 재무부는 월례 경제 보고서를 통해 "미국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라며 위기를 인정했다. 인도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의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키르티 바르단 싱 인도 외교부 부장관은 "우리의 관심사는 에너지 안보이며, 우리에게 이익이 되는 어떤 나라로부터든 에너지원을 계속 구매할 것"이라며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계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의 명분을 정면으로 반박한 셈이기도 하다.

동시에 인도 정부는 피해를 입은 수출 기업들을 돕기 위한 대책도 발표했다. 로이터는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가 섬유·가죽·보석 등 피해가 예상되는 품목의 수출업자들과 만나 영국·호주·아랍에미리트(UAE) 등 기존 무역 협정 체결국으로의 수출을 늘리는 방안을 논의하면서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인도가 받을 경제적 충격은 불가피해 보인다. 인도수출기구연맹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도의 약 870억 달러(121조 257억원)에 달하는 대미 상품 수출의 55%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다. 인도의 대미 수출은 전체 수출에서 약 18%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또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 등 인도의 경쟁국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내다봤다.

단기적으로 최대 200만 개의 일자리도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관세 부과 확정 소식이 알려진 26일, 인도 증시는 3개월 만에 최악의 하락을 기록했고 루피화 가치 역시 5일 연속 하락했다.

양국의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은 배경에는 협상 실패가 있다. 양측은 5차례에 걸쳐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인도 협상단은 당초 한국·일본··EU처럼 15% 수준에서 관세율이 결정될 것으로 낙관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결과는 최악의 시나리오였다.

독일 매체 FAZ와 일본 닛케이아시아 등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몇 주 동안 모디 총리에게 전화 통화를 시도했지만, 분노한 모디 총리는 일부러 이를 받지 않았다. 한때 서로를 "진정한 친구"라고 내세웠던 두 지도자의 '브로맨스'가 관세를 두고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