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영풍 석포제련소, 경북 구미 해평중 학생들에 친환경 설비 소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8010014248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8. 28. 13:34

세계 제련소 최초 '무방류 시스템' 직접 확인
사진1. 구미 해평중 학생들, 영풍 석포제련소서 환경 체험학습
경북 구미 해평중학교 학생들이 27일 영풍 석포제련소 무방류시스템 설비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영풍
영풍 석포제련소가 경북 구미 해평중학교 학생들에게 국내 대표 제련소의 친환경 설비와 환경관리 현장을 체험하는 시간을 제공했다.

28일 영풍에 따르면 지난 27일 해평중학교 학생과 교직원 등 30여명은 석포제련소를 방문해 비철금속 생산 과정과 친환경 설비를 견학했다.

해평중학교는 2024년부터 경상북도교육청으로부터 기후위기 대응 교육영역 연구학교로 지정돼 있다. 지속가능성과 환경을 주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번 방문 역시 해당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학생들은 이날 석포제련소가 세계 제련소 최초로 도입한 무방류 시스템을 비롯해, 아연 및 비철금속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제련소의 환경관리 체계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현장을 둘러본 학생들은 "무방류 시스템처럼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전량 다시 정화해 재사용하는 기술이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 쓰이고 있다는 것이 신기했다"며 "환경과 기술이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고 입을 모았다.

1970년 설립된 영풍 석포제련소는 국내 최초의 현대식 아연 제련소다. 현재는 세계 4위 규모의 아연 생산능력을 갖춘 글로벌 비철금속 제련소로 성장했다. 특히 영풍이 생산하는 비철금속 제품은 1988년부터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등록돼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영풍은 환경경영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제련소 구현을 목표로 대규모 환경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2019년 '환경개선 혁신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매년 약 1000억원 규모의 환경 예산을 집행해 왔따. 지난해까지 누적 투자금은 약 4426억원에 달한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2021년 세계 최초로 도입한 '폐수 무방류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전량 재처리해 공정에 재활용하는 설비로, 총 460억원이 투입됐다. 연간 약 88만㎥의 공업용수를 절감해 낙동강 수자원 보호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제련소 외곽 3km 구간에는 차수벽과 지하수 차집시설을 설치해 오염 지하수가 낙동강으로 흘러 드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공장 전체 바닥에 3중 차단 구조를 적용해 토양오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영풍 석포제련소 관계자는 "이번 견학을 통해 청소년들이 환경과 산업의 조화로운 관계를 직접 보고 배우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