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는 28일 이사회를 열고 보유 중인 자기주식 302만9580주(보통주 기준)를 오는 9월 4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금액으로는 약 2500억원 규모로, 전체 발행 보통주의 1.93%에 해당한다. 이번 조치는 ㈜LG가 보유한 자사주의 절반 수준에 달하며, 잔여 자사주도 2026년까지 전량 소각한다는 방침이다.
자사주 소각은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순이익(EPS)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가치 제고 수단으로 꼽힌다. LG는 앞서 지난 4월에도 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단주 형태의 자사주 약 6만 주를 이미 소각한 바 있다.
이와 함께 LG는 창사 이래 첫 중간배당도 단행한다. 보통주와 우선주 각각 1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총 배당금은 약 1,542억 원에 달한다. 배당 기준일은 9월 12일, 지급일은 9월 26일이다.
LG는 지난해 주주환원 정책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발표한 뒤 순차적으로 실행에 옮기고 있다. 배당성향 하한선을 기존 당기순이익의 50%에서 60% 이상으로 상향했으며, 실제 올해 초에는 이익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년과 동일한 주당 3100원(보통주) 현금배당을 유지, 배당성향 76%를 기록했다.
지배구조 안정과 수익 기반 확충을 위한 자회사 지분 매입도 병행했다. LG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LG전자와 LG화학 지분을 총 5000억원 규모 매입, 각각의 지분율을 31%대로 높였다. 자회사 배당 수익이 늘어나면 다시 모회사의 배당 여력이 커지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장기적으로는 연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2027년까지 8~1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AI·바이오·클린테크(ABC) 등 그룹 차원의 미래 성장동력에 집중 투자해 기업가치와 주주 신뢰를 동시에 높여가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