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총리 "일어난 일 바꿀 수 없지만 책임질 수 있어"
|
1953년까지 덴마크의 식민지였으며 이후 덴마크 왕국에 속하는 자치 지역으로 편입된 그린란드는, 인구 조정 정책의 일환으로 약 4500명에 달하는 여성에게 동의 없이 자궁 내 피임 장치(IUD)를 시술했다.
피해자 중 일부는 당시 10대였으며, 사전에 설명이나 동의 절차가 없었고 심지어 부모에게 알리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덴마크 총리와 옌스 프레데릭 닐슨 그린란드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으로 사과했다.
덴마크 총리는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일어난 일을 바꿀 수 없다. 하지만 책임질 수 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덴마크를 대표해 사과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덴마크가 그동안 그린란드에 행한 조직적 차별과 학대에 대해서도 사과한다고 말했다.
그린란드 총리는 강제 피임 사건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며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너무 많은 여성들이 삶, 가족, 지역 사회에 거쳐 깊은 흔적을 남겼다"라며 "그들과 공감하며 그들의 슬픔과 분노를 함께 한다"라고 밝혔다. 또 이제서야 사과가 나온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했다.
이미 약 150명의 여성이 덴마크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들 중 한 명인 불라 라슨(66)은 마침내 사과를 받게 돼 매우 기쁘다며 "마침내 내 인생의 가장 어두운 장을 마무리하게 되어 마음이 평화로워졌다"라고 가디언에 전했다.
라슨은 14세 때 병원으로 가라는 기숙학교 교장의 말에 병원으로 가 아무런 설명 없이 IUD 시술을 받았다. 그녀는 "엄청난 고통"을 느꼈으며 성인이 된 후에야 자신이 불임 시술을 받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린란드 정당 이누이트 아타카티키트(IA) 의원인 아자 켐니츠는 오랫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거둬 기쁘다며 "그린란드와 덴마크 간의 새로운 관계를 위해서는 사과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