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28일 "3국 외교당국은 지난 27일부터 이틀간 일본 도쿄에서 '제4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실무그룹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백윤정 외교부 국제안보사이버과장, 조나단 프릿츠 미국 동아태국 수석부차관보, 미야케 후미토 일본 외무성 사이버정책대사가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3국 외교당국 및 관계부처 북핵·사이버 담당자 70여명도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세탁, 해외 IT 인력 활동 등 불법 사이버 행위 동향을 평가하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 또 3국 공조를 통한 제재 강화와 사이버 보안 협력 필요성에도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3국은 전날 북한 IT 인력의 악의적 활동에 우려를 표하고 대응 강화를 다짐하는 공동성명도 발표했다. 3국 정부는 성명에서 "북한 IT 인력들은 악의적 사이버 활동에 직접 관여하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블록체인 업계에서 빈번하다"며 "북한 IT 인력을 고용, 지원하거나 이들에게 일감을 하청주는 것은 지적재산·정보·자금 탈취뿐 아니라 평판 손상 및 법적 결과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규탄했다.
실무회의 계기 3국은 26일 사이버보안 전문기업 맨디언트(구글 자회사)와 협력해 북한 IT 인력 위협 대응을 위한 민관 합동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프리랜서 구인구직 플랫폼,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 가상자산 회사, 인공지능(AI) 업계 등 민간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북한의 IT 인력 침투 수법과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민관 협력 방안도 모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