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는 오는 29일부터 LH가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2차 매입공고를 시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14일 발표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의 후속 조치다.
앞서 LH는 지난 3월 1차 매입공고를 통해 현재 3000가구 규모의 미분양 매입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 건설경기 침체가 여전히 가라앉으며, 매입 규모를 최대 8000가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연도별로 내년 3000가구, 2026년에는 5000가구를 매입한다는 게 국토부의 계획이다.
매입 대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다. LH는 신청 단지를 대상으로 임대 활용 가능성과 향후 분양전환 가능성을 평가한 뒤 가격 검증을 거쳐 최종 매입 여부를 확정한다.
매입 가격은 '매입 상한가' 내에서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를 기준으로 낮은 순서대로 매입한다. 1차 공고 당시 매입 상한가는 감정평가액의 83%였다. 이를 이번 2차 공고부터 감정평가액의 90%로 상향한다. 최근 급등한 공사비 상황을 반영하고, 공공임대로 활용도가 높은 우량 주택의 신청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매입한 주택은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된다. 시세의 90% 수준 전세로 6년간 거주한 뒤, 희망할 경우 추가 2년을 거쳐 저렴하게 분양전환 받을 수 있는 주택이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이번 매입은 건설업계 유동성 확보와 지역업체 자금 순환을 지원해 경기 활셩하게 기여하기 위한 것"이라며 "임대 수요가 충분한 우량주택을 선별 매입해 서민 주거 안정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