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통해 최근 2년간(2023년 7월~2025년 7월) 수도권 아파트 연령대별 매매가격지수를 조사한 결과, 준공 5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이 6.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5년 초과~10년 이하 5.70% △10년 초과~15년 이하 5.19% △15년 초과~20년 이하 4.71% △20년 초과 3.95% 순으로 나타났다.
신축 아파트는 단열, 난방, 환기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공간 효율성을 반영한 특화설계, 여유로운 주차장과 최신식 커뮤니티 시설, 스마트홈 및 보안 시스템 등으로 실거주 만족도가 높다.
반면 20~30년 이상 된 구축 아파트는 건물의 노후화, 유지·보수 비용 부담,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수요자들에게 점차 외면받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와 신혼부부를 중심으로 처음부터 편리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중시하는 수요가 늘면서, 같은 입지 조건이라도 신축과 구축의 가격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도 나타나기도 한다.
공급 부족에 따른 희소성도 신축 아파트 강세 이유 중 하나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서 올해 상반기 수도권 공동주택 분양 승인 물량은 4만986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200가구)보다 18.35%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 물량은 7만3959가구로 22.7% 증가했지만, 착공 물량은 6만5631가구로 8.41% 줄어들었다. 통상 인허가는 3~5년, 착공은 2~3년 뒤 입주로 이어지는 만큼 중장기적인 공급 위축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일부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 의왕시 '의왕더샵캐슬' 전용 59㎡는 지난 7월 7억5000만 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고, 안양시 동안구 '평촌자이아이파크' 전용 59㎡도 같은 달 두 건이 8억5000만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런 가운데 8~9월 수도권에서 신규 아파트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GS건설은 9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일원에서 상록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안양자이 헤리티온'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5층~지상 최고 29층, 17개 동, 총 1716가구 규모 대단지다. 이 중 조합원 및 임대물량 등을 제외한 전용면적 49~101㎡ 639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도보 거리에 수도권 1호선 명학역이 위치한 역세권 입지이며, 한 정거장 거리에 월곶~판교선, GTX-C 노선이 계획돼 있다. 단지 남측으로 수리산이 접해있고, 인근에 명학초, 성문중·고, 신성중·고 등 교육시설도 가깝다.
대우건설은 8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일원에서 '망포역 푸르지오 르마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8층~지상 40층, 3개 동, 전용면적 62~100㎡ 총 615가구로 공급된다. 수인분당선 망포역 바로 앞에 조성되는 초역세권 단지이며, 해당 노선을 통해 신분당선 판교역과 강남역, 지하철 1호선 환승역인 수원역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중흥토건은 9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일원에서 딸기원2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중흥S-클래스 힐더포레'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15층, 22개 동, 총 1096가구의 대단지이며, 이 중 전용면적 59~84㎡ 637가구를 일반분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