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책임있는 대책과 지원 절실
|
광주·전남 관광업계는 4일 전남도의회에서 성명서를 내고 항공철도사고조사위 조사결과 발표가 12월로 연기되면서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시기는 완전히 불투명해져 조기 개항하지 않으면 외식·숙박 포함 50만 관광업계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어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요구했다.
이날 업계는 "이재명 정부가 2030년 방한 관광객 3000만명 시대를 국정과제로 내걸고 관광 화성화에 나섰다"며 " 9월부터 내년 6월 까지 중국인 단체 무비자가 시행돼 전국에 K-관광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 일본·중국·베트남·태국 등 국제선 노선 확대로 이용객 30만명을 넘었지만 제주항공 참사 이후 운항이 중단되며 공항은 완전 폐쇄됐다"며 "장기폐쇄로 교통 불편을 넘어 광주·전남 관광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어 정부는 책임있게 조기개항 로드맵을 제기해 주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가 명확한 조치 없이 방관한다면 지역 관광업계는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게 될 것이며 50만 지역 관광 종사자 등은 돌이킬수 없이 무너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또 "항공기 사고로 피해를 입은 광주·전남 관광업계의 실질적 회복을 위해서는 무안국제공항의 조기개항에 이어 정부 차원의 대책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난 6월 기준 관광업계가 모객한 8만여명을 기준으로 1000억 이상의 매출 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말까지 개항이 불투명해져 잠정 2000억원 이상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 또 전북 20만명의 관광업계 등은 이번 통계에서는 빠졌다.
한편 관광업계는 "빠른시일안에 피해자 유가족들을 만나 위로와 함께 정부차원 조속한 대책마련과 조기개항을 위해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