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이탈리아, 미래 산업 협력 강화…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5010003156

글자크기

닫기

남미경 기자

승인 : 2025. 09. 05. 13:21

5일 '비즈니스 포럼'…첨단기술·녹색경제 등 논의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 상호보완적 파트너십 모색
"양국 교역 확대에서 기술·문화 교류로 외연 넓혀"
KakaoTalk_20250905_114316395
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탈리아-한국 비즈니스 포럼 2025'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남미경 기자
한국과 이탈리아가 미래 산업을 축으로 한 협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양국은 이를 기반으로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탈리아-한국 비즈니스 포럼 2025'에서 양국 정부와 경제단체, 기업 대표단은 첨단기술과 녹색경제,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핵심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상호보완적 파트너십을 확대하려는 공감대가 확인된 자리였다. 이번 포럼은 이탈리아무역공사(ITA), 이탈리아 외교협력부,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 한국경제인협회(FKI), 이탈리아경제인연합회(Confindustria)가 공동으로 마련했다.

양국의 협력은 이미 수년간의 경제 교류 속에서 꾸준히 다져져 왔다. 2012년 한-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교역은 빠르게 확대돼 2024년 교역 규모는 126억 달러로 2012년 대비 55% 이상 성장했다. 특히 한국은 아시아에서 '1인당 이탈리아산' 제품 소비가 가장 큰 시장으로, 그동안 패션·명품에 집중됐던 교역은 점차 첨단 기술과 미래 산업으로까지 외연을 넓히고 있다.

이날 포럼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구체적으로 확인됐다. 이탈리아 기업 45곳과 한국 기업 140곳 등 총 185개사가 참여해 160여 건의 비즈니스 미팅을 소화했다. 논의 의제는 인공지능과 반도체, 로보틱스 같은 첨단 산업부터 친환경 전환, 제약·의료기기, 항공우주와 모빌리티까지 다양했다. 이는 단순한 교역 협력이 아니라, 양국이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 산업 연대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양국 인사들의 발언에서도 외교·경제적 메시지가 분명히 드러났다. 발렌티노 발렌티니 이탈리아 기업·산업부 차관은 "이번 포럼은 디지털, 자동화 시스템, 인공지능(AI) 등 기술혁신과 기업 국제화를 위한 전략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양국 간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견고하고 지속적인 파트너십이 형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에밀리아 가토 주한 이탈리아 대사는 "양국이 첨단기술과 혁신을 기반으로 경제 관계의 새로운 단계를 여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KakaoTalk_20250905_114403276
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탈리아-한국 비즈니스 포럼 2025'에서 관계자들이 행사를 기념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남미경 기자
이어서 열린 패널 토론에서는 '양국 간의 경제 관계 현황과 미래 전망'을 주제로 여러 과제들이 논의됐다.

토론자로 참여한 김태형 인베스트 코리아 신임 대표는 "양국이 관세, 기후변화 등 일부 분야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지만 이제는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면서 "한국의 강점인 반도체와 조선업, LNG 운반선 그리고 이탈리아의 강점인 패션과 문화 등에 투자를 활성화하고 혁신을 더 강화해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태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한국의 ICT 역량과 이탈리아의 문화, 디자인, 패션은 상호보완적"이라며 "양국은 창의성과 회복탄력성을 공유해 혁신적 협력을 이어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질적 성과도 나왔다. 행사에서 △대우건설과 이탈리아 수출보험공사(SACE) 간 수출신용 협력, △한국수출입은행과 이탈리아 예금대출공사(CDP) 간 기업 금융 지원, △주한 이탈리아상공회의소와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간 협력 등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양국은 이번 포럼을 통해 서로의 관계를 국제무대에서의 전략적 협력자로 발전시켰다고도 평가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후 위기, AI 확산 등 국제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이 공동 해법을 찾는 '기술 동맹' 모델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양국은 또 단순한 교역 확대를 넘어 첨단 기술과 친환경 사업에서의 협력을 공고히 하기로 했다. 나아가 경제적 이해를 넘어 정치·문화적 교류까지 협력의 지평을 넓혀갈 것으로 기대했다.
남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