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쿠데타 재발하지 않을 것을 국민께 확인시켜야"
|
내란 특검팀은 이날 오후 2시부터 김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김 의원은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석해 찬성표를 던졌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1시 50분께 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고검에 출석하며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 당시) 경찰이 국회를 둘러싸고 있었고, 진입을 시도하다 결국 담을 넘어들어갔다"며 "151번째로 국회 본회의장에 입장해 의결 정족수가 채워진 뒤 군이 국회로 진입해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힘 의원들은 본회의장을 왔다가 나가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였다"며 "숫자도 많지 않았고 다수가 나가는 모습도 보였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 다수가 내란 특검팀의 소환 요청에 응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정치인들이라면 군사 쿠데타가 불가능하다는 걸 보여주고, 수사에 협조해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을 거라고 국민에게 확인시킬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내란 특검팀은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이 비상계엄 당일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비상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는 당시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며 장소를 국회에서 여의도 당사로 바꿨고,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재차 변경했다.
내란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약 1시간 뒤쯤 추 전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과 통화한 기록 등을 확보했다. 내란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한 데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사전에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인지하지 못했으며, '비상계엄 해제 방해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내란 특검팀은 지난 2일부터 추 전 원내대표의 자택, 지역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고 국민의힘 원내대표실과 원내 행정국 측에서 임의제출 형식으로 자료를 확보했다. 내란 특검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추 전 원내대표를 소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