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 건설부문은 지난 5일 충남 한화포레나 천안아산역 공사현장에서 이 같은 성격의 '외국인 근로자 맞춤형 안전보건 교육'을 마쳤다고 8일 밝혔다.
현장 대면교육과 동시에 전 현장을 대상으로 화상 교육도 함께 진행해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의식을 강화했다.
건설현장 내 외국이 근로자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안전교육 부족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화 건설부문은 올해부터 한국창직역량개발원과 협력해 외국인 안전문화 지도사를 초빙, 맞춤형 안전교육을 정례화해 운영 중이다.
이번 교육은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별로 시간을 나눠 진행됐다. 각 국 출신 안전문화 지도사가 직접 교육을 맡았다. 기존에는 한국인 강사가 설명 후 통역을 거쳐야 해 시간이 길어지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국적별 '안전보건 리더'를 선발해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Tool Box Meeting)과 외국인 근로자 안전교육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안전보건 리더들에게는 분기별 현장 포상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료 및 합격포상(연 2회) 등을 함께 제공해 적극적인 안전활동 참여와 책임감을 높이고 있다.
이 밖에도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3대 사고 유형(떨어짐·맞음·부딪힘)에 대한 설명을 '픽토그램 '으로 제작해 교육하고 있다.
자체 모바일 프로그램을 활용한 '근로자 안전신문고'도 10개 국어로 운영해 근로자가 언제든지 위험사항을 손쉽게 접수할 수 있도록 했다.
김윤해 한화 건설부문 안전환경경영실장은 "건설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는 매년 꾸준히 늘고 있어 이에 따른 안전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특히 언어 소통 문제와 안전의식 개선을 위해 임직원 모두가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