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시회 폐회일인 이날 시의원들의 시정질문에는 그 어느때보다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시 재정 왜곡 논란과 관련 집행부와 시의회간 신경전이 고조되던 상황에서 이번 논란의 당사자인 정진호 의원을 비롯한 두 의원의 시정질문이 예정됐기 때문이다.
김태은 의원에 이은 시정질문에 나선 정 의원은 그동안 논란이 돼 왔던 '팩트체크'보다는 논란을 더욱 부추기려는데 더 신경을 쓰는 듯 했다. 지난 달 20일 열린 강현석 의정부시 부시장의 기자회견 보도자료 문구 하나하나를 언급하며 시의 재정 운용 문제를 다시 지적한데서도 쉽게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앞서 김태은 의원이 김동근 시장을 상대로 이번 논란의 쟁점 사안별로 꼼꼼하게 사실 여부를 따져 진실 공방을 가리려는 것과는 사뭇 대조되는 모습이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 의원이 이번 시정질문장을 마치 잘 짜여진 대본을 토대로 유튜브 촬영을 위한 무대로 활용하고 있지 않느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흘러 나온다.
실제 정 의원은 임시회가 끝난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정부 재정논란! 시장의 3대 거짓말과 불법'이란 제목의 시정질문 동영상을 올려 김 시장을 깎아내리기에 치중하고 있다.
이날 본회의장을 직접 찾은 한 시민은 이번 논란과 관련해 무엇이 진실인지 알려고 했지만 각종 주장만 되풀이돼 더욱 혼란스런 상황이라고 씁쓸해 했다.
김 시장은 의원 시정질문을 답하다가 시민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키는 이번 논란을 끝내기 위해 시의회와 시가 각각 외부 전문가를 선정해 제3자 검증을 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 의원은 "법제처 유권해석이 있고 행안부에서도 같은 지적이 있었기 때문에 외부 검증은 필요하지 않다"며 김 시장측 제안을 즉각 거절했다.
시 집행부와 시의회 기관 간 논쟁이 아닌, 어쩌면 김동근 시장과 장진호 시의원 이 둘의 개인 간 대결(?)로 치부될 수 있는 이번 논란을 조기에 잠재우기 위해서는 김 시장의 전문가 검증 제안을 정 의원이 받아들였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쨋든 시 재정 논란은 하루빨리 끝나야 한다. 그래야만 시민들은 이번 논란으로 인한 혼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