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협상 관계자에 스파이웨어 설치 의도 추정
|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직원들을 비롯해 미국의 여러 무역단체, 법률회사, 정부기관은 지난해 7월 스웨덴에서 열리는 중국과의 무역 회담을 앞두고 존 믈리나 공화당 하원의원(미시간주)이 발송한 것으로 보이는 이메일을 받았다.
그 내용은 미국의 입법자들이 중국을 겨냥해 추진 중인 제재안에 대해 의견을 달라는 요청이었다.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믈리나 의원이 개인 아이디로 이같은 이메일을 발송한 점은 의문을 자아냈고 이는 사칭 행위인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이에 따르면 이는 중국과 연계된 것으로 의심되는 일련의 사이버 첩보 활동 중 가장 최근 사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협상에 의견을 제시하는 조직을 상대로 스파이웨어(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를 훔치는 프로그램)를 설치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메일이 발송된 지 며칠이 지난 지난 7월 말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협상에서는 양국이 관세 휴전을 올해 11월 초까지로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FBI와 미 의회경찰은 믈리나 의원 사칭 이메일을 조사하고 있다. 사이버 분석가들은 중국 국가안전부의 하청업체로 추정되는 해커조직 APT41이 해당 이메일에 숨긴 악성코드를 추적하고 있다.
이번 해킹의 목적은 중국 관리들이 외부 단체들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받고 있는 권고 사항을 파악하는 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를 달성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FBI 대변인은 이 사안에 관해 "파트너들과 협력해 책임자를 특정하고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믈리나 의원은 성명을 통해 "이번 사건은 중국이 미국의 전략을 훔쳐 악용하려는 공격적 사이버 작전의 또 다른 사례"라며 "우리는 위협에 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관리들은 해킹 의혹을 부인하며 미국의 입장을 자신들의 공격적인 행위를 숨기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중국 대사관은 자국이 사이버 공격에 반대하며 단속하고 있다면서 "근거 없는 비방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