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유의사항 6가지 제시
|
9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 ETF 순자산은 232조원으로 2020년 말(52조원) 대비 약 4.5배 급증했다. 상장 종목 수도 1016개로, 2002년 ETF 도입 이후 처음 1000개를 넘어섰다.
ETF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상장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옵션을 활용하는 등 구조가 복잡한 상품도 별도 권유 없이 곧바로 매매가 가능해 투자자가 충분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ETF의 특성과 위험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투자자 유의사항을 제시했다.
금감원은 먼저 분배율만 보고 투자 성과를 단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분배금은 펀드 자산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일 뿐이며, 기준가(NAV)가 하락하면 전체 손익은 오히려 마이너스로 돌아설 수 있다는 설명이다.
투자 비용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단순 총보수 외에 지수사용료·감사비 등을 포함한 합성총보수(TER)를 확인해야 하며, 장기 투자일수록 비용 부담은 수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와 실제 성과 간 차이, 즉 추적오차가 커질 경우 기대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도 경고했다. 시장가격과 기준가 간 괴리율이 확대되면 그만큼 투자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옵션을 활용한 ETF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커버드콜 전략처럼 고분배만 부각될 수 있으나 기초자산 상승분을 포기하는 기회비용이 뒤따른다.
ETF의 자산구성내역(PDF)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거래소와 운용사 홈페이지에 실시간 공개되는 자료를 통해 실제 편입 종목과 비중을 점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NS 추천을 맹신하지 말아야 한다. 금융법상 등록되지 않은 '핀플루언서'의 조언은 검증되지 않았을 수 있고, 이해관계가 명확히 표시되지 않아 투자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금감원은 투자자가 ETF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펀드신고서상 투자전략과 투자위험을 면밀히 심사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ETF는 국민 자산 증식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았지만 구조적 특성과 위험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며 "투자자 알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