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임승관 질병청장, 감염 대응체계 ‘재정비’ 선언…“효율·효과 모두 확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9010004984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9. 09. 15:01

"인구·지역 변화 맞춰 대응체계 재구조화"
대응 프로그램 개편·지역 시스템 구축 등 예정
AI 기반 혁신도 예고…"과학적 정책 수립 기회"
혁신 전담 TF에 청장 참여·검역 등에 AI 접목
KakaoTalk_20250909_134213779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이 9일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진행된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서병주 기자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이 사회구조 변화 속 미래에 다가올 신규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감염병 대응체계 재정비에 돌입한다. 그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을 '질병·건강 정보의 수집-분석-활용 전 과정'에 접목, 감염병 대비 및 대응에 최대 효율과 효과를 이끌어 내겠다는 방침이다.

9일 임 청장은 오송 질병청사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감염병 유형에 따른 대응 체계를 구축했지만, 향후 다가올 새로운 감염병에 기존 방식이 유효한가를 고민하고 있다"며 "인구 고령화와 지역 인구 소멸 문제 등 사회적인 변화에 맞춰 과거의 사례를 자산으로 삼아 대응 체계를 재구조화하겠다"고 말했다.

그 일환으로 임 청장이 직접 위기대응 프로그램 개편과 법령 개정 과정에 참여, 내년부터 본격적인 감염병 대응체계 재편에 돌입한다. 특히 감염병 감시와 예측 대응의 정교화와 의료대응 체계 강화 및 개편에 집중, 그 일환으로 주요 표본 감시기관과 병원체 감시기관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코로나19 대유행 당시에 지적받은 정부 중심 의료대응 거버넌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 내 보편적 의료체계 속에서 상시적으로 작동되는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감염병 위기 대응의 컨트롤타워로서 위기 단계에 따른 의료 대응 체계를 재정비한다.

임 청장은 "과거 팬데믹 대응이 많은 비용을 투입하고 원하는 효과를 얻는다는 관점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효과와 효율 모두 추구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시대적인 변화에 대한 예측과 이해도를 모두 갖춰야 하는 만큼, 사회 구조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 청장은 AI 기술을 통한 데이터 과학 기반의 질병 예측 및 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의지도 전했다. 임 청장은 "앞선 청장들도 과학적 기반 정책 수립을 위한 노력을 해왔지만, 적잖은 비용 투입 등 장애 요소를 마주해왔다"며 "이제는 AI라는 유용한 도구가 생기면서 데이터 수집과 분석, 활용 고도화 등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고 강조했다.

또 "AI는 보건의료 영역에서 활용가능성과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며 "질병청은 발전하는 AI 기술을 적극 활용, 질병·건강 정보의 수집-분석-활용 전 과정에서 데이터 과학의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질병청은 청장이 단장직을 수행하는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현재 업무 형태에서 혁신을 시도한다. 아울러 감염병 환자 역학조사에서 AI 시범 활용으로 밀접접촉자를 자동선별하는 한편, 검역 과정에서는 'AI 검역관'이 해외여행 입국자 중 의심증상자를 자동 분류해 입국과정의 편리성을 제고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질병청은 국내 백신 플랫폼 확보를 위해 추진 중인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의 현황과 세부 목표도 밝혔다. 임 청장은 "지난 4월 수행 기관을 선정해 비임상과제를 진행 중으로, 오는 12월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새로운 팬데믹에도 100∼200일 이내에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