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소 고위험 작업에 AI로봇 투입
|
9일 포스코홀딩스는 AI 기반 로봇 기술을 활용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최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그룹 핵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조 현장에서의 안전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AI·로봇 기술의 가능성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5월 26일부터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예선에는 전국 32개 대학 84개 팀이 참가했으며, 12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본선에 7개 팀이 올랐다. 본선에서는 다관절 협동로봇 챌린지와 4족 로봇 자율보행 챌린지가 펼쳐졌다.
협동로봇 부문에서는 이차전지소재 열처리 용기를 모사한 불량 블록을 정상 블록으로 교체하는 미션이 주어졌고, 4족 로봇 부문에서는 제철소 설비 점검 환경을 구현한 트랙을 완주하는 과제가 진행됐다. 속도, 정확성, 장애물 인식 능력 등이 평가 기준이었다.
대상은 성균관대 'Agile'팀(4족 로봇)과 서울시립대 'UOS Robotics: ARM'팀(협동로봇)이 차지했으며, 본선 진출팀 전원에게 포스코그룹 회장상과 총 4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또한 연구 과제 연계와 포스코DX 채용 가점 혜택도 제공된다.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이번 대회가 AI와 로봇이 중심이 되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미래를 체험하는 장이 되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분야에 AI·로봇 기술을 적극 도입해 제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실제 제철소 고위험 작업에 4족 보행 로봇을 투입하는 등 AI·로봇 기술의 현장 적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