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구금 상태에서 횡액
공산당 가입 여부도 심문
|
보도를 종합하면 이 학생들은 작은 방에서 휴대전화 등 개인 전자기기를 압수당한 채 장시간 심문도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더불어 법 집행관들로부터 학업과 무관한 여러가지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예컨대 공산당과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소속 여부에 대한 반복적 질문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심사장은 구치소를 방불케 했다. 게다가 학생들은 실내 온도 10도 정도의 추운 공항 내 지정된 구역에서 장시간 대기도 해야 했다. 또 밤에도 플라스틱 의자에 웅크리고 있어야 했다. 충분한 식사와 담요도 제공되지 않았다. 심지어 일부 법 집행관들은 학생들을 난폭하게 대하면서 다른 학생들과 소통하는 것도 제한했다.
이같은 부당한 심사와 절차를 거쳐 유학 비자를 보유하는 등의 법적 체류 요건을 갖춘 일부 학생들은 추방까지 당했다. 미국 국가 안보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 이유였다.
당연히 중국 대사관 측은 사건과 관련해 미국에 엄중하게 항의했다. 잘못된 조치를 시정하라고도 요구했다. 그러나 미국 측은 실질적 답변이나 해명을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입국심사 과정에서 추방당한 유학생 실태 역시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향후 2년 동안 60만 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미국 내 분위기로 볼 때 이 계획이 실현될 가능성은 상당히 희박해 보인다. 더구나 평소 중국을 대하는 태도에 비춰보면 그의 말이 진심인지도 의심스럽다고 해도 좋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적대적 분위기 탓에 현재 유학을 희망하는 중국인 청년들은 대안으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와 홍콩 등을 생각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일부 대학의 경우 정원의 30∼40%가 중국인 학생들일 정도로 유학생이 몰리고 있다고 한다. 한국 역시 일본에는 못 미치나 거의 비슷한 상황으로 변해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