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외교 소식통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노 이사장의 인선 절차를 마무리하고 중국 측 아그레망(주재국 부임 동의)을 기다리고 있다.
노 이사장을 포함한 대통령 중국 특사단은 지난달 24~27일 중국을 방문했다. 특사단은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한정 국가부주석 등 중국 고위 인사들과 두루 면담하고 이들을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노 이사장은 2012년 동아시아문화재단을 설립해 한중 간 문화 교류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6년에는 중국 청두시 국제자문단 고문을 맡았으며, 문재인 정부 때인 2021~2022년 외교부 산하 한중관계미래발전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위원장을 지내는 등 한중 교류와 한중관계 현안에 오랫동안 관여해 왔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992년 한중수교를 맺는 등 이른바 '북방정책'을 추진한 인물로, 노 이사장의 주중대사 인선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노 이사장은 다이빙 주한중국대사와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을 앞둔 지난달 19일 노 전 대통령 묘역을 함께 참배하기도 했다. 다이빙 대사는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당시 초심을 지키기를 원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