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세종시의회·5월 국회청원 등 지자체·국민 요구도
센터 설립 시 치료제 개발비 대폭 축소 등 기대효과 전망
|
15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사회 각계에서 국가유전자세포치료센터 건립과 관련 제도를 정비하려는 움직임이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정치권의 경우 제약사 연구원 출신인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전자 치료 연구와 임상시험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해당 개정안에는 국가유전자세포치료센터를 설립, 유전자치료 및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과 유전자치료제의 제조 및 품질관리를 지원하는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과거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에 그쳤던 유전자치료가 이제는 암 등 후천적으로 발생한 질환의 치료에도 적용되는 등 적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국가 차원의 유전자치료 산업 육성과 난치병 치료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개정의 배경이다.
이번 개정에 앞서 이미 지자체나 일부 국민들 사이에서는 국가 차원의 유전자세포치료센터 건립과 운영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커지고 있어왔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는 지난 3월 열린 본회의에서 '국가 유전자·세포치료 센터 건립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후 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연구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임상연구는 보건복지부가, 규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민간 바이오기업 지원은 산업계가 담당하는 등 업무가 분절돼 있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도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유전자와 세포 치료는 국가 전략 기술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분야로, 연구와 진료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세포 치료센터 건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5월에는 국회전자청원에 '희귀질환, 소아암, 난치 안과질환 치료를 위한 유전자·세포치료 인프라 개선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청원'이 올라와 보름 사이 5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기도 했다. 당시 청원에는 유전자세포치료센터 건립을 통한 치료 기반 마련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됐었다.
이 같은 각계의 요구처럼 국가유전자세포치료센터가 설립돼 국가가 각종 희귀질환 치료제를 생산하게 된다면 최대 50억원 규모인 유전자 치료제 개발비용이 10억원 안팎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센터를 거점으로 임상실험 시도가 이전보다 활성화돼 보다 적극적인 치료제 개발이 이뤄질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가유전자세포치료센터 등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통해 국가 차원의 연구 및 정책 지원이 강화된다면 이미 보유한 유전자·세포 치료 원천기술을 과감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며 "또 법적·제도적 미비로 미진했던 연구와 임상 적용 사례가 늘어 국내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