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층 중심 張대표 중도확장 반발
내년 지선앞 친윤·친한 갈등 불가피
|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남세진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권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권 의원은 2022년 1월 통일교 세계본부장으로부터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 지원 명목으로 현금 1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는다. 법원은 장시간 심문 끝에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인멸 우려가 인정된다며 영장을 발부했다. 권 의원 측은 정치적 목적이 개입된 수사라고 주장했으나 법원 판단을 뒤집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정국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총구를 밖으로 돌리며 장외투쟁을 준비하고 있다. 특검 수사를 '정치 보복'으로 규정하면서도 법리적으로 맞설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무엇보다 당내 결속을 다지려면 결국 장외로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전장에 뛰어들 전의(戰意)는 미약한 수준이다. 주류·중진 의원 상당수가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의 전례와 특검법상 처벌 조항을 의식해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부 친윤(친윤석열)계는 자신들 역시 소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행동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이런 사정은 당내 계파 구도에도 그대로 투영된다. 친한(친한동훈)계는 장동혁 대표의 강경 노선에 거리를 두며 관망하고 있고, 장 대표의 강성 이미지에 반감을 가진 비주류 인사들 역시 언론 노출을 자제하며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고질적 계파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는 모습이다.
강성 지지층의 압박도 거세다. 일부 유튜버들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문제를 거론하며 지도부를 공격했고, 장 대표의 중도 확장 행보를 '배신'이라며 날을 세우고 있다. 당내에선 강성층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면 외연 확장이 막히고, 그렇다고 중도를 향하면 내부 반발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권 의원의 구속은 대여투쟁의 정치적 명분에도 타격을 줬다. '정치 탄압' 프레임이 일정 부분 힘을 잃은 것이다. 그럼에도 지도부는 "이번 수사는 명백한 정치 보복이며, 특검이 정권 교체를 겨냥해 기획한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권 의원 구속 이후 여야 대치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흐름대로라면 민주당은 특검을 명분으로 공세를 강화할 것이고, 국민의힘은 수세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당내에서는 친윤계와 친한계 간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지도부의 부담이 커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장동혁 지도부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내년 지방선거와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이번 사태를 어떻게 수습하느냐가 향후 정치 지형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야권 관계자는 "민주당은 앞으로도 특검을 무기로 삼을 것이고, 국민의힘은 수세에 몰릴 수밖에 없는 국면"이라며 "친윤·친한 간 계파 갈등이 다시 고개를 들면 장동혁 지도부 입장에선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그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른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