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급성심근경색 위험 1.63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09951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9. 18. 12:00

급성심장정지,매년 3만건 이상
직장내 적극적 예방 관리 필요
“금연·주 1회 이상 운동습관 중요”
초여름 날씨에 가벼워진 옷차림<YONHAP NO-3585>
연합
질병관리청은 18일 근무 환경과 근무 시간이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고, 심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 직장 내에서도 적극적인 예방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급성심장정지는 갑작스럽게 심장 기능이 중단되며 혈액순환이 멈추는 응급 상황으로, 적절한 대처가 없을 경우 급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청의 '2023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에 따르면,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13년 2만9356건에서 2023년 3만3586건으로 증가했으며, 매년 3만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부전(조정 승산비 22.60) △심근경색(8.55) △부정맥(2.79) △뇌졸중(2.85) △당뇨병(1.63) △고혈압(1.55) 등의 질환이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확인됐다.

또한, 근무 형태와 근무 시간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야간·저녁 근무, 과도한 연속 근무는 급성심장정지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한 국외 연구에서는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일반적인 근무 시간(7-9시간) 대비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약 1.6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근경색은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장시간 근무가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건강한 근무 환경 조성과 적절한 휴식 확보는 급성심장정지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질병청은 이번 카드뉴스 통해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질환, 근무 형태 및 시간에 따른 위험성, 일상생활 및 직장에서의 실천 가능한 예방 수칙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 관리와 더불어 건강한 근무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일상에서의 예방수칙은 금연과 주 1회 이상 중등도 또는 고강도 운동 습관, 하루 6~8시간의 충분한 수면, 하루 1회 이상 과일, 채소 섭취, 붉은 육류 섭취를 줄이기 등이 있다.

직장에서는 과도한 연속 근무를 자제하고, 저녁/야간 근무를 최소화하며, 업무 후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확보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급성심장정지는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지만, 생활습관과 근무 환경을 개선하면 예방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직장 내 건강한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실천이 필요하다. 안전을 지키는 것만큼이나, 근로자의 심장 건강도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