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제학자들 “AI 도입·활용이 향후 3년간 성장률 견인할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10349

글자크기

닫기

유수정 기자

승인 : 2025. 09. 18. 14:54

삼일PwC, 세계경제학자대회 참석 111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64%, AI 영향력 낙관…"저성장 한국도 AI로 생산성 제고해야"
자료=삼일PwC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각국의 경제학자들은 미·중 무역 분쟁 및 미국의 경제정책 등이 단기적으로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도입과 활용이 향후 3년간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18일 삼일PwC가 발표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학자의 절반 가량(47%)은 향후 1년간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달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학자대회(ESWC)에 참석한 경제학자 11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다.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가장 큰 리스크로는 무역 분쟁(27%)과 미국 경제정책(26%)을 꼽았다. 지정학적 갈등(17%), 인플레이션(11%) 등도 뒤를 이었다.

다만 AI 확산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위험은 단기간 내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로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64%는 AI의 도입과 활용을 통해 향후 3년간 세계 경제 성장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AI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분야로는 △통신·미디어 △제조 △유통·물류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순으로 봤다. 에너지와 소비재 부문은 상대적으로 AI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이는 PwC의 경제학자들이 AI 도입 추정치와 최근 학술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결과(PwC의 The leader's guide to value in motion)와도 비슷한 결과다. 해당 연구결과에 따르면 AI가 과거 전기 등 신기술의 발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경우 2035년 세계 경제 규모는 예상보다 거의 15% 더 커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PwC는 이를 통해 AI가 19세기 산업혁명이 세계 경제에 미친 영향과 버금가는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제학자들은 AI 확산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했다. 주요 우려사항으로는 △개인정보 유출 및 프라이버시 침해(23%) △가짜뉴스 확산(23%) △경제적 격차 심화(23%) 등을 꼽았다. 반면 인간의 통제력 상실(10%)이나 AI 설계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9%) 등의 위험은 상대적으로 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재영 삼일PwC 경영연구원장은 "이번 설문조사는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각국의 성장 전망이 하향 조정되는 가운데 AI 등 신기술의 등장이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며 "저성장 기조에 진입한 한국 경제도 AI를 적극 활용해 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유수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