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강민국 “금융권 IT 인력 비중 낮아… 전자금융거래법 IT 인력 수준 명문화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2010011690

글자크기

닫기

김민혁 기자

승인 : 2025. 09. 22. 10:37

올해 8월 기준 IT 인력 비중 10%… 증가세 정체
카드업권 20% 가장 높아… 손보업권 9% 가장 낮아
강민국 의원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 /강민국 의원실
디지털·인공지능(AI)이 모든 산업에서 확산되면서 정보통신(IT) 관련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금융업권의 경우 IT 관련 인력의 비중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전자금융거래법의 하위 규정에 IT 인력 확보 수준을 명문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 '국내 주요 금융업권 IT 인력 현황'에 따르면 2025년 8월 말 기준 6개 금융업권 전체 임직원 대비 IT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11%(전체 22만9271명 중 2만6137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1년 9%, 2022년 9%, 2023년 10%, 2024년 11%로 점차 증가해 왔지만, 2025년 8월 기준으로는 10% 수준으로 정체된 것이다.

업권별로는 카드업권의 IT 인력 비중이 전체 1만3470명 중 2721명으로 20%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생명보험 15%(전체 2만3166명 중 3362명), 증권 11%(전체 6만8701명 중 4293명), 저축은행 11%(전체 9456명 중 1031명), 은행 10%(전체 11만654명 중 1553명), 손해보험 9%(전체 3만3824명 중 3177명) 순으로 이었다.

카드업권의 IT 인력 비중은 현대카드가 전체 2204명 중 616명으로 28%를 차지해 가장 높았지만, 삼성카드는 전체 2063명 중 262명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사고로 297만명의 회원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는 IT임원 비중이 전체 45명 중 3명으로 7%로 카드업권 중 가장 낮았다.

생명보험업권의 IT 인력 비중은 AIA생명보험이 전체 691명 중 236명으로 34%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DB생명보험은 전체 597명 중 36명(6%) 가장 낮았다.

증권업권에선 토스증권이 전체 437명 중 IT 인력이 265명을 차지하며 절반을 훨씬 넘는 61%의 IT 인력을 갖고 있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줬다. 가장 낮은 건 코리아에셋투자증권으로 체 207명 중 5명(2%)에 불과한 IT 인력을 보유 중이다.

저축은행업권에선 하나저축은행이 전체 161명 중 36명(22%)의 IT인력을 보유하며 가장 높은 IT 인력 비중을 보여줬다. 반면 안양저축은행은 전체 46%명 중 IT 인력은 1명에 불과ㅤㅎㅒㅆ다.

은행업권 중에선 카카오뱅크가 전체 1740명 중 IT 인력 869명을 보유해 절반 정도의 인원이 IT 인력인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기업은행은 전체 1만3482명 직원 중 IT 담당 인원은 806명(6%)에 불과해 가장 낮았다.

특히 은행업에선 인터넷은행 3사가 비대면 업무라는 특수성으로 다른 은행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IT인력 비중을 보였다.

손해보험업권에선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이 전체 251명 중 121명(48%)의 IT 인력을 확보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여줬다. 반면 흥국화재의 경우 전체 1037명 중 54명(5%) 만이 IT 관련 인력이었다.

한편 금융업권 IT 인력 비중 성장의 정체뿐 아니라 이들 인력에 대한 신규 채용도 감소하고 있다. 특히 연도별로는 2021년 11%, 2022년 14%, 2023명 11%, 2024년 11%로 감소해고 있다. 업권 별로는 카드업권 IT 인력 채용비중이 5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증권업권(13%)과 저축은행업(12%), 생명보험업(12%), 은행업(8%), 손해보험업(6%) 순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디지털·AI 경제의 확산에 따라 전 산업군에서 IT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금융업권 IT 인력 비중은 10% 수준"이라며 "그마저도 채용이 감소하고 있어 해킹 등 사이버 위협에 제대로 대응할 수 ㅤㅇㅣㅄ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금융 당국은 국내외 사례 및 업계 의견 등을 수렴해 '전자금융거래법'의 하위 규정에 대폭 강화된 IT 인력 확보 수준을 명문화시켜야 한다"며 "정보유출 등 중대한 금융 IT 사고 발생 시 징벌적 과징금 부과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민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