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안보실은 "정부는 국가 전체적인 보안 취약점 점검이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국가시스템, 주요 통신·플랫폼, 금융기업 등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정보보안 사고 발생 시 신속한 피해확산 방지와 이용자 보호체계를 수립하고 정부·공공부문 및 민간 기업의 전반적인 정보보호 투자를 유도할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국가안보실은 또한 그동안 금융·공공기관의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이용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했던 소프트웨어도 제한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국가안보실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만 적용되어 온 갈라파고스적인 보안 환경도 대대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가안보실은 이어 "사이버안보 역량의 지속성 확보를 위해 산업·인력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인공지능(AI)·양자컴퓨팅 등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보안 신기술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국가안보실은 그동안 이 같은 정책방향을 토대로 관계부처 및 민간 전문가들과 협의를 진행해왔다. 이번주 중으로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9월 말 '정보보호 종합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