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교사단 운영으로 현장 안착 및 활용 사례 공유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 강화, 학생 참
|
23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플랫폼의 공동 개발은 2023년 3월 전국 시·도교육감 협의회에서 제안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위탁해 진행 중이다.
해당 플랫폼은 안정성과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하반기 세 차례 걸쳐 단계적으로 개통된다. 1차 개통은 9월 4주차부터 선도교사를 대상으로 빅테크·에듀테크 연계 기능을 우선 적용하며, 구글·네이버 등 대형 플랫폼과 민간 에듀테크 도구를 통합 로그인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2차 개통은 11월에 이뤄지며 수업 저작도구와 콘텐츠 활용 기능이 추가된다.
3차 개통은 12월로, 학습 데이터 분석 기능이 탑재돼 교사는 학생별 맞춤형 학습 정보를, 학생은 자기주도 학습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내년
에는 인공지능(AI) 분석 모델과 학습 자원지도가 본격적으로 구축되며, 데이터 기반 교육 유통 시스템까지 고도화될 예정이다.
플랫폼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에서 맞춤형 학습 설계와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해지고, 여러 아이디를 입력할 필요 없이 한 번의 로그인으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학생의 성취도와 학습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자기주도 학습도 가능하다. 또한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와 과정중심 평가가 누적 기록되며, 표준화된 학습 맵을 통해 체계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교육활동 데이터는 진로·진학 지도에 활용할 수 있고, 교육청 단위의 정책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다.
교사들의 반복 업무는 AI가 일부 분담한다. 생성형 AI 챗봇과 'SenGPT'가 수업 평가 문항 설계나 평가 보조 업무를 지원하며, 클라우드 저장 공간과 협업 도구를 통해 업무 효율성도 높인다. 각 교육청은 선도교사단을 운영해 플랫폼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현장 안착을 돕는다.
정근식 시교육감은 "AI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학습 지원과 교원 역량 강화의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포용적 협력교육 실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