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국가 '영토' 병합 전략
가자지구에 군사작전, 서안에 정착촌 건설 확대, 예루살렘 '수도' 선언
|
이로써 193개 유엔 회원국 중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 국가는 전날 캐나다·호주·영국·포르투갈, 이날 오전 몰타를 포함해 153개국으로 늘었다. 벨기에·룩셈부르크 등도 이번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간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주요 20개국(G20) 국가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독일·이탈리아·일본·한국 등 5개국이 남게 됐다.
|
하지만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의 존립 기반이 되는 '영토' 병합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고, 미국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 이스라엘의 존재를 위협하고, 테러리즘에 대한 터무니없는 보상'이라는 이스라엘 주장에 동조하고 있어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의 꿈이 현실화할지는 미지수다.
이스라엘은 1948년 영국 위임통치령이었던 팔레스타인 영토의 56%를 유대인 국가에, 43%를 계획된 팔레스타인 국가에 할당하고, 예루살렘을 국제 관리하에 두기로 하는 유엔 계획에 따라 설립됐다.
하지만 이후 중동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영토의 78%를 장악했고, 팔레스타인 국가는 나머지 22%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동예루살렘에 건설되는 구상이 추진돼 왔다.
이러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은 아서 밸푸어 당시 영국 외무부 장관이 1917년 영국 내각이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을 위한 민족적 고향(national home)' 수립을 지지하면서 이스라엘 근대 국가 건국 움직임이 시작된 이후 1세기 이상 지속된 분쟁을 해결할 유일한 방안으로 국제사회에서 인식돼 왔다고 AP통신이 전했다.
프랑스와 아랍의 맹주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통치하는 비무장 국가를 설립함으로써 분쟁을 종식하는 단계적 계획을 추진해 왔다.
이 계획에는 가자지구 전쟁의 즉각적인 종식, 모든 인질의 귀환, 이스라엘군의 완전 철수를 요구하고,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무기를 내려놓고 PA 산하 정치적으로 독립된 위원회에 권력을 이양하며, 국제사회는 PA가 가자지구를 재건하고 통치하도록 지원하고, 필요시 평화유지군은 파견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7월 말 '뉴욕 선언'으로 마련됐고, 이달 12일 유엔총회에서 찬성 142·반대 10·기권 12로 채택됐다.
|
하지만 이스라엘은 이러한 움직임을 비판하면서 1967년 3차 중동전쟁 때 이집트로부터 차지한 가자지구를 초토화시키는 군사작전을 전개하고 있고, 요르단 점령지였던 서안지구에 대해 정착촌 건설 사업을 확대하면서 유대계 인구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아울러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이 성지로 꼽는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예루살렘 전역을 수도라고 선언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기 집권 때인 2017년 12월 이를 인정하고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겼다.
|
네타냐후 총리는 당시 알레아두밈과 예루살렘을 연결하는 'E1'에 주택 3400호를 건설하는 계획에 서명했는데, 이 계획이 현실화하면 서안지구는 분할된다.
이스라엘은 정착촌 건설 확대뿐만 아니라 군사 기지와 사격장 등 군 인프라를 건설하고 있으며 동예루살렘 등에 대해 민간·안보 통제를 강화하면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제대로 영위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