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혼남녀, 결혼·출산 인식 개선…10명 중 4명 “출산 의향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4010013424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9. 24. 14:38

저고위, 제4차 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자녀 필요성·출산의향 10%p 이상 증가
일·가정 양립 위한 유연근무 활성화 필요성
자료=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그래픽=박종규 기자
결혼과 출산에 대한 국민 인식이 1년 사이 크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혼과 출산의 주 연령층인 미혼남녀 10명 중 4명은 출산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제4차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통해 미혼남녀의 결혼에 대한 긍정인식이 지난해 3월 보다 6.7%포인트(p) 늘어난 62.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결혼 의향도 64.5%로 1차 조사 대비 3.5%p 올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과 9월, 올해 3월에 이어 지난달에 4번째로 진행됐으며, 전국 만 25~49세 국민 2800명이 참여했다. 지난 세 차례와 동일한 문항을 이용해 국민 인식의 변화 추이를 분석했다.

이중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74.5%로 집계됐다. 지난해 3월 1차 조사 당시 70.9% 소폭 상승한 수치다. .

자녀 필요성도 높아졌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은 70.8%로 1차 조사 대비 9.7%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출산 의향은 무자녀 가구에선 7.6%p(32.6→40.2%) 늘었지만 유자녀 가구는 상승 정도가 1.4%p(10→11.4%)로 자녀 유무에 따라 차이가 벌어졌다.

미혼남녀가 느끼는 자녀의 필요성은 1차 조사 50%에서 61.2%로 11.2%p 높아졌고, 출산의향도 29.5%에서 39.5%로 10%p 상승했다.

출산의향은 긍정 조건은 '소득이 좀 더 많다거나(34.6%)',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면(22.1%)' 등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돌봄서비스의 이용 만족도는 90% 이상이었지만 1차 조사 대비 초등 돌봄 만족도는 1.6%p 줄었다.

돌봄서비스의 개선 요구사항으로 영유아가정은 '이용시간 확대' 및 '이용비용 지원 또는 감면'(각각 57.7%)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고, 초등가정은 '프로그램 개선 및 서비스 질 향상(67.5%)'을 원하는 이들이 많았다.

응답자들은 원활한 일·가정 양립을 위해선 '육아지원제도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와 '기관 돌봄 서비스 이용기회·시간 보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정부의 저출생 대책 중 일·가정양립분야에선 '엄마·아빠의 육아기 유연근무사용 활성화' 요구가 커졌고 교육·돌봄분야에선 '아이돌봄 서비스 정부 지원 확대'를 원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주거분야 정책에 대해서는 '주택구입·전세자금 소득기준추가 완화'가 41.5%로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저출생) 회복 모멘텀이 남은 하반기에도 꾸준히 이어진다면 2025년 합계출산율은 그간 예상한 0.79명을 넘어 0.8명수준까지도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내년 1분기에는 그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본다"며, "이러한 긍정적 흐름을 구조적 반등 추세로 굳히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과 양육부담 완화, 결혼, 주거지원 등 3대 핵심분야정책을 더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