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직장인 절반, 2026년 고용 불안감 느껴”…최대 변수는 산업 환경·AI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2010012116

글자크기

닫기

장지영 기자

승인 : 2025. 09. 22. 18:39

2026년 기업 전략 키워드 1위는 ‘성장’·2위는 ‘혁신’
ㅇ
직장인이 생각하는 2026년 사업계획과 전망./휴넷
직장인 절반은 2026년을 앞두고 자신의 업무와 고용 변화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시장 변화와 인공지능(AI) 확산이 일자리와 직무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요인으로 꼽혔다.

22일 기업교육 전문기업 휴넷은 직장인 5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직장인이 생각하는 2026 사업계획과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9.5%('매우 불안' 4.4%, '다소 불안' 45.1%)가 2026년 업무 및 고용 환경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했다.

일자리 및 직무에 영향을 줄 주요 요인(복수 응답)으로는 △산업·시장의 성장 또는 침체(51.6%) △AI 및 자동화 기술 확산(34.1%) △조직 구조 개편(33.1%) △직무 재설계 및 역할 변화(20.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AI가 일자리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위기 인식이 직장인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간 사업계획 수립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직장인은 72.5%였으며, 소속 회사의 사업계획 수립 수준에 대해서는 '보통'(42.9%) 응답이 가장 많았다.

2026년 사업계획 시 회사가 반드시 대비해야 할 전략 키워드로는 △성장(시장 확대·신사업 등, 31.9%)이 1위로 꼽혔다. 이어 △혁신(디지털 전환·AI 등, 26.4%) △생존(시장 축소·경쟁 심화 등, 25.3%) △내실(비용 절감·리스크 관리 등, 11.0%) △전환(사업 구조 변화·M&A 등, 5.4%) 순으로 나타났다.

휴넷 관계자는 "직장인들은 경기 불확실성과 AI 등 급격한 기술 변화에 불안감을 느끼면서도, 기업의 최우선 과제로 성장과 혁신을 꼽았다"며 "생존을 넘어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기업의 책임과 직장인들의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설문은 이달 30일 열리는 사업계획 특화 포럼 '포사이트 코리아 2026'을 앞두고 실시됐다. 이 포럼은 경제·경영·마케팅·인사·테크 등 전문가들이 2026년 경영전략 수립에 필요한 핵심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다. 휴넷은 이번 포럼을 통해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 기업들이 직면한 과제와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할 예정이다.
장지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