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공성 강화·임금체제 개편 등 주장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는 24일 오전 서울대 본관 로비에서 파업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단체교섭을 거부해 불가피하게 파업에 나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파업에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사무행정, 시설, 미화 등 다양한 직군 조합원 3600명 가량이 참여했다.
노조는 의료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립대병원을 보건복지부로 이관하고, 환자 안전을 위해 인력을 충원해달라고 요구해왔다. 노조는 "서울대병원은 본관, 암병원, 어린이병원 등 수십 개의 건물을 운영하고 있다"며 "이 넓고 복잡한 공간을 야간에는 단 한 명의 시설직원이 책임지는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임금체계 개편도 핵심 쟁점이다. 노조는 "이 임금체계는 최고 호봉에 도달하는 데 72년이 걸려 숙련 인력의 장기 근속을 어렵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김영태 병원장은 불통과 고집으로 공공의료를 외면하고 있다"며 "병원장이 오늘도 교섭에 나오지 않으면서, 25일에도 전면파업은 이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