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사람도 먹을 수 있는 멍냥이 사료 생산”… 위생·신뢰 잡는 ‘우리와 펫푸드 키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6010014538

글자크기

닫기

음성 정영록 기자

승인 : 2025. 09. 26. 11:03

25일 충북 음성군 소재 제조공장 가보니
가공·조리·포장 수평 배치… 교차오염 방지
아시아 8개국 수출… 유럽 선진국 진출 추진
KakaoTalk_20250926_104350781_01
윤관식 우리와주식회사 생산팀장이 지난 25일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반려동물 사료 제조 공장 '우리와 펫푸드 키친'에서 자사 제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영록 기자
"좋은 원료와 깨끗하고 위생적인 제조공정으로 사람이 먹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반려동물 사료를 만들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현장도 공개하고 있습니다." (윤관식 우리와주식회사 생산팀장)

지난 25일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우리와주식회사'의 반려동물 사료 생산공장. 이곳은 원료부터 설비까지 위생적으로 관리해 사람이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사료를 제조하고 있다.

2018년 설립된 우리와는 '곰표' 밀가루로 익숙한 대한제분을 모기업으로 하는 펫푸드 계열사다. 직원 공모로 선정된 사명은 '반려동물과 사람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날 방문한 생산공장 '우리와 펫푸드 키친'은 원료 가공·조리·포장 공간이 250m 수평 구조로 길게 늘어선 것이 특징이다. 교차오염을 막기 위해 공간을 구분해 설계했다.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를 음식처럼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생산한다는 의미로 키친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면적 7242평(약 2만3974㎡) 크기로 축구장 3개를 합친 것과 맞먹는 시설은 지난 2020년 완공됐다.

KakaoTalk_20250926_104350781_02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우리와 주식회사 반려동물 사료 제조공장 내부에 보관 중인 원료. /정영록 기자
입구 소독시설을 거쳐 공장에 들어서자 쿰쿰한 냄새가 풍겨왔다. 원료를 고온으로 찌면서 발생한 향이다. 공장 140m는 외부인이 견학할 수 있도록 공개돼 있었다. 복도에서 창을 통해 내부 장비·작업자 등을 볼 수 있으며 벽면에는 공정에 대한 안내판도 부착돼 있다.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윤관식 팀장은 "온라인 라이브방송 등을 통해 현장 제조 모습을 다 보여주고 오픈한다"며 "어느 회사보다 뒤쳐지지 않는 위생적 제조시설을 갖췄다는 것을 말해주고자 소비자 초청 투어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대포장된 원료는 각각 라벨(식별지)이 붙어 있어 입고날짜 및 수량 등이 표시된다.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방식을 통해 선입선출을 관리하고, 제조하려는 사료에 맞는 원료가 투입되는지 판별해 오류를 줄인다. 이를 통해 지난 5년간 원료가 잘못 투입되는 오류를 차단했다.

이어 핵심 장비 '익스트루더'가 원료를 고온·고압으로 가공해 사료 알갱이(키블)를 만든다. 작업자들이 생산한 사료는 핫팩정도의 온도로 뜨끈했다. 윤 팀장은 해당 키블을 직접 먹으며 안전성을 자신했다. 해당 사료를 먹어보니 건조과정이 진행되기 전이라 포슬포슬하고, 말린 멸치처럼 비릿한 냄새가 났다.

KakaoTalk_20250926_104350781_03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우리와 주식회사 반려동물 사료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사료.. /정영록 기자
포장작업은 '제함기'를 통해 자동화돼 있다. 박스를 접는 것부터 사료를 담고 마지막으로 테이프를 붙이는 것까지 기계가 담당한다. 소포장 제품의 경우 아직 작업자가 필요하지만 올해 12월까지 설비를 추가 투입, 내년부터는 100% 무인화를 달성할 예정이다.

윤 팀장은 "한 달에 평균적으로 2500~3000톤(t) 정도 생산하고 있다"며 "계절적 요인으로 동물도 식욕이 떨어지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10%가량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우리와는 육류 성분 위주의 '웰츠(Wealtz)', 필수 영양 성분이 높은 '프로베스트', 동물병원 처방식 'V.O.M' 등 개·고양이 전용 건사료 제품군을 갖추고 있다. 국내산 사료 중 점유율은 23%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70%가량 온라인에서 판매된다. 코스트코·다이소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구매가능하며 CU 편의점 입점도 추진 중이다.

해외 수출도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대만·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8개국에 우리와 펫푸드가 건너가고 있다. 2023년 기준 수출 실적은 500만달러(약 70억원)를 기록했고, 지난해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탑 우수상도 수상했다. K-Food+는 농식품(K-Food)과 스마트팜·농기계 등 농업자재, 동물용의약품, 펫푸드 등 전후방산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향후 우리와 영업목표는 해외 수출 확대 및 소비자 인식 개선을 통한 국산 사료 이용률 제고다.

윤 팀장은 "러시아·멕시코·필리핀 등 해외 시장 확대를 준비 중"이라며 "펫푸드 선진국인 유럽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와는 설비부터 반려동물 영양 관련 연구인력까지 국내 최고 수준이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아직 국산 사료보다 외국 제품이 좋다는 인식이 있다"며 "사람이 먹어도 전혀 무방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고, 위생관리를 완벽하게 하고 있다는 점을 펫푸드를 선택하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에게 더욱 알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KakaoTalk_20250926_104536037
충북 음성군에 위치한 우리와 주식회사 반려동물 사료 제조공장 전경. /정영록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펫푸드를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로 분류하고, 컨설팅·마케팅 등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반려동물사료 수출액은 1억6000만달러(약 2257억원)로 매년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농식품부는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로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을 감안해 펫푸드 시장 확대 및 연관산업 육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정훈 농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펫푸드 관련해서 제도화돼 있지 않은 부분이 있고, 연구 등 (산업 육성을 위해) 해야할 작업이 많다"며 "동물복지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록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