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제럴드 커티스는 누구? 일본 정치 내막을 가장 깊이 이해한 미국 정치학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6010001486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기자

승인 : 2025. 10. 06. 15:18

clip20251006131743
일본 정치 연구의 세계적 석학 제럴드 커티스(Gerald L. Curtis·84) 미국 콜롬비아대 명예교수는 '일본 정치의 살아있는 관찰자'로 불린다./최영재 도쿄 특파원
일본 정치 연구의 세계적 석학 제럴드 커티스(Gerald L. Curtis·84) 미국 콜롬비아대 명예교수는 '일본 정치의 살아있는 관찰자'로 불린다. 1960년대부터 일본에 드나든 그는 반세기 넘게 일본 정치의 작동원리를 현장에서 추적해온 외국인 학자 중 거의 유일한 존재다. 일본 언론은 그를 "일본 정치의 거울을 비추는 미국인"이라고 부른다.

1940년 뉴욕에서 태어난 커티스 교수는 1960년대 초 하버드대에서 정치학을 공부하던 중 일본에 유학하며 일본 정치의 인간적 측면에 매료됐다. 1971년 첫 저서 『Election Campaigning Japanese Style』(일본판 제목 『代議士の誕生』)을 펴내며 자민당 정치의 현장 구조를 생생하게 해부했다. 지방 후원회(後援, 코엔카이)가 의원을 키우고, 의원은 관료와 연결돼 예산을 가져오는 순환 구조 이른바 '일본식 정치의 논리'를 제도보다 인간관계 중심으로 설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clip20251006132659
커티스는 학자이자 현장정치인들의 '조용한 브로커'이기도 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오부치 게이조, 하타 쓰토무 등 전직 총리들과 깊은 친분을 맺었고, 도쿄의 정치권과 워싱턴 싱크탱크를 잇는 비공식 창구 역할을 했다. /최영재 도쿄 특파원
이후 대표작 『The Logic of Japanese Politics』(1999)는 자민당 장기집권의 비밀을 "정책보다 인맥, 제도보다 습속"이라는 말로 정리했다. 서구가 일본 민주주의를 '불완전한 제도'로 보던 시각을 넘어, 커티스는 일본 정치가 가진 유연성과 타협의 문화를 제도적 현실로 해석했다. 이 책은 일본 학계에서 '자민당 체제를 이해하는 필독서'로 자리 잡았고, 일본 대학의 정치학 수업 교재로도 널리 쓰인다.

커티스는 학자이자 현장정치인들의 '조용한 브로커'이기도 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오부치 게이조, 하타 쓰토무 등 전직 총리들과 깊은 친분을 맺었고, 도쿄의 정치권과 워싱턴 싱크탱크를 잇는 비공식 창구 역할을 했다.

1980~90년대에는 미일 양국 정책협의 과정에서 조언자로 참여하며, 워싱턴에서는 일본통(日本通)으로, 도쿄에서는 '커티스 선생'으로 불렸다. 일본어에 능통한 그는 NHK, 아사히, 닛케이 등 주요 언론의 정치 해설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했고, 일본 대학에서는 '일본인보다 일본 정치를 더 아는 미국인'이라는 평을 들었다.
clip20251006131910
한국에서 출판된 제럴드 커티스의 저서 "아베의 일본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
퇴임 이후에도 그는 일본 정치의 구조적 경직성을 꾸준히 경고해왔다. 최근에는 기시다 후미오 내각을 향해 "일본 정치의 최대 문제는 리더십 부재가 아니라 책임 회피 문화"라고 비판했다. 또한 자민당 세습정치에 대해서도 "정치는 국민의 신뢰를 자식에게 상속할 수 없다"며 일본 정치의 폐쇄성을 꼬집었다.

한일관계에도 그는 현실적 시각을 유지한다. "양국의 외교는 감정의 정치에서 전략의 정치로 옮겨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그는 한국과 일본이 역사 문제로 충돌할 때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외교가 흔들리는 것은 두 나라 모두의 구조적 약점"이라고 지적해왔다.

커티스의 분석이 꾸준히 주목받는 이유는, 일본 정치의 본질을 제도나 이념이 아닌 '사람과 관계'에서 읽어내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 정치는 정당이 아니라 개인 의원이 움직이는 정치"라고 단언했다. 이 시각은 오늘날 자민당 내 파벌정치와 장기 집권 구조를 해석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

일본 사회는 그를 단순한 외국 학자가 아닌 '제3의 시선으로 일본을 비추는 내부자'로 받아들인다. 80대 중반의 나이에도 커티스는 도쿄를 자주 찾으며 정치인, 언론인, 학자들과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존재는 여전히 일본 정치의 거울이자, 미·일·한 3국이 서로를 이해하는 통로로 남아 있다.


최영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