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일주일 동안 홋카이도에서는 60대 남성이 곰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고, 아오모리와 이와테에서도 주민들이 부상을 입었다. 니가타현에서는 초등학교 통학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일본 언론은 "곰 습격은 인간이 자연과 접하는 방식의 한계가 드러난 사례"라고 지적한다.
환경성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기후 변화와 가을철 도토리 생산량 감소가 야생곰의 하산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식량 부족 때문만이 아니라 인구 감소, 산촌 방치, 농지 축소 등 인간 사회 구조 변화가 곰의 서식지 이동과 겹치며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고 보고 있다.
요미우리신문 사설은 "곰 출몰은 지방 소멸의 또 다른 얼굴"이라며, "인구 감소와 공동체 해체가 야생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아오모리와 홋카이도의 일부 산촌 마을에서는 청년 인구가 급격히 줄고, 과거 농촌 공동체 중심의 방어망이 무너졌다.
한국에서도 이번 사태는 남의 일이 아니다. 기후 변화, 야생동물 서식지 이동, 인구 구조 변화 등은 한반도 지방에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일본 사례는 지방 안전 정책과 재난 대응 시스템의 참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7일 밤 긴급 회의를 열고,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곰 출몰 지도 작성', '드론 감시 강화', '인명 피해 지역 포획·방어 대응' 등 조치를 지시했다. 총무성 관계자는 "방치된 산림과 빈집 주변에서 출몰이 집중된다"며,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주민 스스로 곰을 감지·회피하는 장치와 교육이 병행되고 있다. 홋카이도 일부 마을에서는 '곰 경보 앱'과 경보 벨 설치가 시행됐으며, 주민들은 곰 방지 스프레이, 방울, 경고용 라디오를 휴대하며 일상생활에 경계 태세를 갖추고 있다.
SNS와 지역 커뮤니티에서는 "곰보다 무서운 건 정부 대응 미흡" "지방 안전망 붕괴가 반복된다"는 불만이 확산 중이다. NHK 해설위원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야생동물 문제를 넘어, 지방 소멸과 재난 대응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라며, "인구 감소와 행정력 부족이 곰 출몰과 같은 사회적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태풍과 곰 출몰이라는 상반된 재난이 일본 사회의 구조적 취약점을 드러냈다"며 "중앙집권형 행정이 지역 위험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5년간 홋카이도와 도호쿠 지역에서는 곰 관련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산림 관리 부재, 지방 소멸 현상이 겹치면서 '인간과 야생의 충돌'은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한국 외교·재난 전문가들은 이번 일본 사례를 주목한다. "한반도 지방에서도 기후 변화에 따른 야생동물 이동, 산촌 인구 감소, 행정 대응 한계는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일본의 대응 체계와 커뮤니티 대응 사례를 참고해 기후 적응 정책과 지방 안전망 강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결국 북일본 곰 습격 사건은 단순한 재난이 아니라, 일본 사회가 직면한 '지방 소멸·인구 감소·재난 대응의 삼중 위기'를 드러내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주민이 협력하지 않으면, 자연과 인간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앞으로도 반복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