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日 언론, 北 미사일 경보 지연 논란…다카이치 체제 출범과 맞물린 대북 강경 신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0010001722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기자

승인 : 2025. 10. 10. 14:50

다카이치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자민당 신임 총재/로이터 연합
최근 일본이 경험한 북한 탄도미사일 잇단 발사 사건을 두고, 일본 언론이 정부 대응의 허점과 체계 문제를 잇달아 지적하고 있다. NHK와 니혼TV 등 방송은 국민경보(J-ALERT) 시스템이 제때 작동하지 않은 사례를 상세히 보도하며,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총재 체제에서 대북정책이 한층 더 강경하게 전개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산케이, 요미우리, 아사히 등 신문은 다카이치 총재의 방위상 경험과 과거 발언을 중심으로, 출범 초기 내각의 대북 전략 기조를 분석했다.

NHK는 9일과 10일 연속 보도를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동해 상공을 지나갈 때 J-ALERT 경보가 일부 지역에서 늦게 울렸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국민 안전을 위한 경보 체계가 실제 작동 상황에서 지연될 가능성이 있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하며, 정부 대응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다카이치 총재가 방위상 출신으로 강경파라는 점을 언급하며, 미사일 위협에 대한 정부의 정책 기조가 기존보다 엄격해질 수 있음을 내다봤다.

산케이신문은 다카이치 총재가 과거 "북한 미사일 기지를 선제 공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발언을 근거로, 향후 대북정책이 초강경·선제 대응 중심으로 설계될 가능성을 분석했다. 또한 미사일 방어(MD) 체계와 자위대의 대응 능력 강화가 우선순위로 자리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케이는 이러한 정책 기조가 한미일 삼각 공조를 강화하는 명분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함께 지적했다.

요미우리는 다카이치 체제 출범 전후로 일본 정치권의 연정 및 내각 불안정이 안보 대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카이치 총재와 공명당 간 정책 조율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미사일 위기 상황에서 실무적 대응이 지연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아사히신문 역시 "정치 공백이 길어질수록 국가안보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북한의 지속적 위협과 맞물린 일본 정치 구조의 취약성을 강조했다.

이번 상황은 한국에도 직접적 시사점을 준다. 첫째, 다카이치 체제 하에서 일본의 대북 강경 노선은 한미일 안보 공조 강화의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북한 미사일 위협과 일본 내부 대응 지연은 한일 간 정보 공유·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재차 확인시킨다. 셋째, 내각 출범 초기의 정책 불확실성은 한일 실무 채널을 통해 조기 안정성을 확보하고, 북한 위협 대응을 위한 공동 시뮬레이션과 정보체계 점검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번 사건이 단순한 일본 내 기술적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다카이치 체제 출범이라는 정치적 배경과 맞물린 전략적 사건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일본의 대북 대응 강화는 한미일 공조의 틀 속에서 한국 외교·안보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 요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일본 언론은 북한 미사일 위협과 일본 정부 대응 지연을 동시에 주목하면서, 다카이치 체제 출범으로 예고되는 대북 초강경 노선과 연계해 분석하고 있다. 한국 측에서는 일본의 정책 기조 변화와 실무 대응 체계를 동시에 모니터링하고, 한미일 삼각 공조 속에서 대응 전략을 재점검해야 할 시점이다.
최영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