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곡 초과 생산량 16.5만t 예상
이달 말까지 쌀 할인행사 등 추진
|
농식품부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격리 물량 10만t 중 5만5000t은 지난 8월말부터 추진한 정부양곡 대여 반납물량이다. 나머지 4만5000t은 가공용으로 용도 제한해 밥쌀 시장에서 격리할 방침이다.
지난 2일 국가데이터처(舊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산 쌀 예상생산량조사'를 보면 올해 햅쌀 물량은 약 357만4000t으로 전망됐다.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2만㏊ 줄었지만 생산량은 1만1000t 감소하는데 그쳤다. 올해 10a당 생산량이 527㎏으로 전·평년 대비 증가한 영향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밥쌀 소비 감소 추세와 가공용 소비 증가 등을 종합했을 때 올해 쌀 예상 수요량은 340만9000t으로 과잉 물량은 약 16만5000t 수준이다.
양곡수급안정위는 2024년산 수급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 민간재고 부족으로 이월되는 구곡 물량이 평년보다 적고, 최근 일조량이 전·평년 대비 부족하며 깨씨무늬병 등으로 최종 생산량 변동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쌀 할인행사 종료 시점을 기존 9월 말에서 10월 말로 연기하고, 할인폭도 20㎏당 5000원 수준에서 7000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깨씨무늬병 피해로 인한 농업인 어려움을 감안, 이달 중 농업재해 인정 및 복구비 지원 여부를 신속히 결정할 예정이다.
농가의 원활한 벼 판매를 위해 산지유통업체 매입자금 지원과 특별단속 등을 실시, 유통질서 확립도 추진해 나간다.
아울러 양곡수급안정위는 최근 일본 쌀값이 높게 유지됨에 따라 우리나라 쌀 수출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농식품부는 쌀 수출에 대한 정책 지원 또한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올해도 쌀 초과 생산이 전망되지만 최종 생산량이 일부 변동될 수 있다는 의견 등을 감안해 10만t을 우선 격리할 계획"이라며 "올해는 단경기 산지쌀값이 뒷받침됨에 따라 수확기 쌀 수급이 평년에 비해 안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확기 이후에도 쌀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시장 전반에 대한 동향 파악을 면밀히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쌀 최종 생산량은 다음달 13일 국가데이터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쌀 소비량은 내년 1월 잠정 공개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