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日총리선거 야권 연대 구상 본격화, 정권 교체 가능성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4010003586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도쿄 특파원

승인 : 2025. 10. 14. 16:43

일본 총리선거
일본 공명당 사이토 데쓰오 대표/사진=연합뉴스


공명당의 연정 이탈 이후, 야권 내에서 자민당을 견제하기 위한 연대 구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입헌민주당을 중심으로 국민민주당, 일본유신회 등과의 협의가 진행되며 과반 확보를 목표로 세력 결집을 시도 중이다. 이 구상이 성공하면 정권 교체의 가능성이 현실화하지만, 실현까지는 많은 난제가 남아 있다.

우선 야권 내부의 정책적 이견과 후보 단일화 문제다. 각 당의 핵심 지지층과 정책 우선순위가 달라 통합의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선거 전략과 지역 기반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협의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야권 연대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서 정부 운영 능력과 정책 조율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

국민민주당
국민민주당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사진=연합뉴스
한편 자민당은 내부 결집을 통해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 보수파의 조직력과 국회 내 네트워크는 여전히 강력하며, 타카이치 등 당내 유력 인사들은 연정 공백을 메우기 위한 다각적 카드를 검토 중이다. 미묘한 표 계산에서의 우위가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책적 의제의 정합성 확보가 연대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야권이 서로 다른 경제·사회정책을 조율하지 못하면 유권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 예컨대 복지확대와 재정건전성 확보라는 상충 과제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 필요하다. 또한 외교안보에 있어서도 공통 기반을 마련해야 실질적 거버넌스 확보가 가능하다. 또 다른 변수는 지역표심과 중도층의 움직임이다. 지난 선거에서 나타난 중도 이탈이 반복될 경우 연대의 이점은 반감될 수 있다.
PEP20250702110201009_P4
요시무라 히로후미(吉村洋文) 일본 유신회 대표 /사진=연합뉴스
야권 내부에서는 이미 일부 정책조정안과 역할 분담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선거 직후에는 구성원 간의 역할 분담·각료 배분에 따른 균형 문제, 그리고 의회 내 상임위원회 배분 등 실무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내부 반발이나 요구가 증폭되면 연대 유지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국제적 관측에서는 일본의 정치 변동이 주변국 정책결정에도 파급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경제·안보 협력 분야에서의 정책 연속성이 깨어질 경우 역내 협력 구조에 미묘한 긴장감이 조성될 수 있다. 한국 정부는 야권 연대의 가능성에 대비해 각 시나리오별 외교·경제 대응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야권의 성패는 유권자들의 '변화 의지'와 얼마나 설득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느냐에 달려 있다.

최영재 도쿄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