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영향은 제한적 주장
무인기 등 공급망에는 직접 영향
|
또 그는 그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대만 반도체 관련 장비와 재료의 대부분이 일본과 미국에서 수입된다는 사실을 대표적으로 거론했다. 그럼에도 당장 반도체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긴다"고 전망했다. 더불어 희토류가 원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전면적인 가격 상승의 촉발 가능성 유무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도 여지를 남겼다.
궁 부장은 이외에 희토류를 사용하는 자석 등을 이용한 모터 산업, 항공산업의 엔진, 공구 기계, 무인기(드론) 등의 공급망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물품 인도 지연 상황은 발생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보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지난 9일 전략 광물인 희토류와 관련 기술의 역외 수출을 한층 강화하는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11월 1일부터 기존의 것 외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즉각 반발했다. 심지어 이번달 말로 예정된 한국 경주에서의 정상회담이 어려울 것이면서 강경 대응 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곧 꼬리를 내린 다음 회담은 성사될 것이라고 입장을 바꿨다. 외신들이 미국이 오락가락하면서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는 분석을 내놓은 것은 이유가 있는 듯하다.